“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함께 탈탄소 전환 목표 설정 필요”
“전력 관련 배출량 회계와 목표 설정 해야”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데이터센터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급증세를 보이면서 구글과 애플 등 빅테크의 기후목표와 목표 달성 전략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 빅테크의 탄소 제거 크레딧 공급 부족 대응법
- 사막으로 몰려가는 데이터센터에 물 부족 경고등 켜졌다
- EU, 애플·메타에 7억 유로 과징금…美 빅테크, “백악관 대응” 촉구
- 글로벌 기업들, 바이오차 탄소크레딧 구매 러시
-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작년 18% '껑충'…2030 목표 달성은 ‘요원’
- RE100, 이재명 정부에 공개 서한...재생에너지 목표 상향 강조
- 애플, “공급업체 320곳 이상이 2030 탄소중립 목표 동참”
- 구글, ‘30년 넷제로 목표 유지...탄소 배출은 증가
- 구글, 개발 중인 ‘핵융합’ 전력 구매…‘꿈의 에너지’ 상용화 탄력받나
- 美 감세 법안, 재생에너지 사업 과세 조항 삭제...상원 통과
- 탄소 다배출 AI, “잘 활용하면 배출량 감축에 기여”
- 데이터센터 6% 기후재난 고위험군...'인프라 손실 리스크' 노출
- 구글, AI 데이터센터 위해 4조원대 수력발전 계약 체결
- 아마존, 지난해 탄소배출량 6% 증가세 반전...구글도 11% 늘어
- COP30 앞두고 주목 받는 자연금융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