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핵융합 투자 경쟁 본격화
2030 상용화 목표, 전문가 의견 엇갈려
최신 핵융합 연구에서 기술 진전
[ESG경제신문=주현준 기자] 구글이 세계 최초로 핵융합발전소에서 생산하는 전력을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30일(현지시간) 구글은 미국 핵융합 스타트업 커먼웰스퓨전시스템(Commonwealth Fusion Systems, CFS)과 200메가와트(MW) 규모의 전력구매계약(PPA)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ESG정책브리핑] 핵융합 상용화 민간지원...1.2조 규모 사업 예타 추진 외
- 중국 핵융합 기술 3~4년내 미국 따라잡나…돈 2배 쏟아부어
- '핵융합' 전력 역대 최대 기록...아직 갈 길 먼 ‘꿈의 에너지’
- 빌 게이츠 “원자력(핵융합·핵분열)과 친환경 철강 등이 온난화 해법”
- 구글, ‘30년 넷제로 목표 유지...탄소 배출은 증가
- “빅테크 기후목표 신뢰성에 의문...데이터센터 배출량 급증”
- 빅테크의 탄소 제거 크레딧 공급 부족 대응법
- EU, 탈원전서 ‘원자력 확대’로 대전환...원전 산업 새국면 맞나
- 글로벌 ‘핵융합’ 발전 투자 2년새 73% 급증...올해도 25% 추가 성장
- 구글, 美 테네시주에 SMR 건설…2030년부터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 구글, 제미나이 AI 프롬프트 환경비용 첫 공개
주현준 기자
news2@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