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ESG정책브리핑] 핵융합 상용화 민간지원...1.2조 규모 사업 예타 추진 외

  • 기자명 김현경 기자
  • 입력 2024.07.24 10:23
  • 수정 2024.07.24 16:49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부, 폐자원 연구 민관협력 업무협약... SK에코플랜트와 '맞손'

오염·온실가스 저감시설의 대출 이자를 낮춘 환경부. 사진=환경부 제공
오염·온실가스 저감시설의 대출 이자를 낮춘 환경부. 사진=환경부 제공

폐자원 연구 위한 민관협력 업무협약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SK에코플랜트와 폐자원 에너지 관련 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폐자원 에너지 관련 정책 연구를 비롯해 인공지능(AI) 소각로와 같은 신기술 기반의 시설 운영 기법을 개발하기 위해 마련됐다. 아울러 핵심기술 및 정책 분야에 대한 정보 공유로 폐자원 에너지 연구 분야의 최신 데이터를 구축하는 등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조성한다.

업무협약의 주요 내용은 ▲기관 간 인적 자원 교류 협력 ▲탄소중립 이행 분야에서의 공동연구 및 정보공유 ▲폐기물의 자원화·에너지화 실현을 위한 데이터 구축 등이다.

과기부, 핵융합 상용화 위한 민간 지원... 1.2조원 규모 사업 예타 추진

정부가 미래 에너지 기술인 핵융합에너지 확보를 위해 민간이 핵융합 실증로 핵심 부품, 소형화 기술 등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산업에 뛰어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생태계를 조성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핵융합 연구개발(R&D)과 인프라 조성 등을 담은 1조 2000억원 규모의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종호 장관 주재로 지난 22일 '제20차 국가핵융합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전략'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핵융합 글로벌 상용화 선도국가 실현'을 목표로 ▲ 민관협력을 통한 핵융합 기술혁신 ▲ 핵융합에너지 산업화 기반 구축▲ 핵융합에너지 혁신생태계 조성 등 3대 전략과 9가지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우선 핵융합 실증로 건설 단계에 필요한 디버터, 증식블랑켓 등 핵심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퓨전 엔지니어링 혁신프로젝트'를 추진한다. 프로젝트는 민간 엔지니어링 역량과 공공의 핵융합 기술을 결합하는 공동 개발체계 형태로 운영된다.

또 민간 연구성과가 핵융합로 소형화 기술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민관 협력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프로그램을 통해 고온초전도자석, 신개념 냉각기술, 초내열 신소재 등을 개발하기로 했다. 이 프로그램은 민간 컨소시엄이 R&D를 주도하고, 공공기관은 여기서 개발된 기술이 핵융합로에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맡도록 구성됐다.

이외에도 디지털 트윈으로 가상 핵융합로를 구현해 설계를 고도화하고, 인공지능(AI) 활용 핵융합로 표준 운영 기술을 개발하는등 디지털 분야 혁신도 추진하기로 했다.

민간 주도 생태계 활성화에 필요한 산업화 기반 구축을 위해서는 기업과 대학,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으로 구성된'핵융합 혁신포럼'을 하반기 출범한다. 또 대형 연구 인프라 구축 등에 따른 내수시장 활성화와 스타트업 창업 등을 지원하는 'K-퓨전 스타트업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나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등을 통해 확보한 기술과 네트워크를 활용해 해외 연구 장치 건설사업 수주도 지원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잠재 수출국 수요를 분석한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고 발주와 입찰 정보 등을 제공하는 '핵융합 종합 수출정보플랫폼'도 운영한다.

또 핵융합 R&D에서 나온 중성자와 저온 플라스마 기술 분야의 산업적 활용을 다양화하고 관련 신산업도 창출한다.

핵융합에너지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민간이 KSTAR를 공동 활용하고 실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개방형 연구협력체계를 구축한다. 핵융합에너지연구원에 협력 기능을 강화하고 KSTAR와 ITER를 통해 축적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핵융합 빅데이터 센터'도 구축한다.

정부는 핵융합 전공과 과목을 신설 및 확대하고, ITER 연계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확충하는 등 인력확보 및 양성도 추진한다. 이외에도 원자력과 구별되는 별도 핵융합 규제체계 개발을 위한 전담 조직을 설치하고 국제기구 및 핵융합로 개발 국가와 규제협력도 강화한다.

제공=과기정통부
제공=과기정통부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