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경쟁력 강화, SMR 초격차 달성 방안 검토
전력망, ESS, 히트펌츠 등 청정인프라 육상 방안 수립

이재명 정부의 탄소중립 산업 육성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첫 회의가 열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전문가 약 30명이 참여한 가운데 한국무역협회에서 '탄소중립 기술·산업경쟁력 강화전략'을 위한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회의에서는 탄소중립을 실현하려면 청정 연료 도입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청정 전력, 청정 연료, 청정 인프라와 관련한 기술 개발, 대규모 실증, 초기 시장 조성 등에 관해 논의했다.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새 정부의 탄소 중립 산업 육성을 위한 로드맵(중장기 계획)을 세울 예정이다.
정부는 앞으로 태양광, 해상풍력의 경쟁력 강화와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차세대 원자력의 초격차 달성을 위한 방안, 전기화가 어려운 수송·산업공정에 대한 청정 연료 전환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차세대 전력망, 에너지 저장 장치, 히트펌프, 에너지 인공지능(AI)과 같은 청정인프라 육성 방안도 수립한다.
이날 회의에서는 차세대 태양전지, 해상 풍력, SMR 등 10대 탄소 중립 핵심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세계 시장 동향과 우리의 경쟁력을 강화할 방안도 논의됐다.
이호현 산업부 2차관은 "새 정부의 기후 위기 대응 정책과제를 차질 없이 이행하기 위해서는 우리 탄소중립 산업의 경쟁력 향상이 시급한 상황"이라면서 "전기화와 청정연료 도입을 두 축으로 한 탄소중립 산업생태계 로드맵을 마련해 탄소중립 기술 중심의 진짜 성장을 이뤄내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 정부, 논란 많은 NDC 국제감축 "목표 달성 최대한 노력”
- 이재명 정부 ESG정책 우선순위는...‘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
- 정부, ETS 배출허용 총량·유상할당 "조속히 발표"
- [정책브리핑] "RE100 산단 조성 속도낸다"…범부처 TF 출범·첫 회의
- AI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건립 계획 55% 차지해 송전망 '골치'
- "탄소중립 R&D 세액공제 늘리고 탄소누출업종 기준 강화해야"
- “올해 세계 전력 수요 증가분 90% 태양광·풍력으로 충당”
- 원전 강국 프랑스 국민 84% 재생에너지에 긍정적...올해 보조금 90억유로
-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담긴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 톺아보기
김현경 기자
news@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