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예산정책처, '기후위기 대응 탄소세 역할' 보고서
"탄소배출권 거래제와 탄소세 병행 고려할 만" 제언
이재명 후보 과거 탄소세 옹호...이번 공약에는 반영안해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향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배출권거래제와 탄소세를 병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 국내 산업 특성 및 국민 수용성 등을 반영한 전략적인 접근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관련기사
- '짜고치는' 환경영향평가 개선될까...3자 '공탁제' 도입 추진
- 민주당 에너지공약, “재생에너지 중심, 원전도 보조수단 활용”
- 민주당, 기후위기대응위원회 출범..."기후산업 적극 육성"
- 국내 기업 내부탄소가격 도마에...사실상 “외부탄소가격”
- “국회 계류 중인 ESG 관련 법안 797건”...전체 법안 중 15%
- [전환 시선] 윤석열 정부 '감세'의 경제적 귀결...기후위기 대응 부실 자초
- 기후행동의원모임 '비상', "추경에 기후재난 대응 핵심예산 반영해야"
- 마이크로소프트, ‘사상 최대’ 1800만 톤 탄소제거 계약 체결
- 대선 후보 TV토론 에너지 관련 발언 “상당수 사실 아냐”
- 韓 산업계가 배출권 거래제 약화 주도?..."상의·포스코·한경협 지목"
- “탄소장벽 5년내 현실화...새정부, '30년 재생에너지 30%로 상향”
- 온실가스 감축인지예산 '허울' 뿐...정부기관 61곳중 16곳만 편성
- 100대 국정과제 선정 '국정기획위원회'에 기후·에너지TF 설치될까
- 김성환 환경장관 후보자 “2030NDC 원점 재검토”...후퇴 의미 아냐
- 환경부 “3차 배출권거래제 뼈아픈 실책...4차 할당량 대폭 감소 예상”
- “CCUS·국제감축 비중 비현실적...국내감축 확대"
- “수송부문 탄소세 도입하면 ‘35년까지 10% 추가 감축 가능”
김연지 기자
kimyj@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