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수 김앤장ESG경영연구소 소장 분석
ESG공시 의무화·온실가스 감축·이사 충실의무 강화 등 법안
행동주의 펀드 연합해 주주행동 나서, 한국 시장 주요 표적
"ESG 굉장한 생명력...법과 제도의 틀에 깊숙히 들어온 상태"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현재 국회에 계류중인 총 5254건의 법안 중 ESG 관련 법안이 797건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들 법안들은 주로 더불어민주당에서 발의한 것으로, 6월 조기 대선이 끝나면 본회의 통과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 인도, 지속가능성 공시제도 완화...“중소기업 부담 감안”
- ISSB, 자연자본 공시에 TNFD 기준 활용 검토 착수
- 국내 중소·중견기업 ESG 경영 수준, "2년 새 2배 향상"
- 尹파면과 조기대선...ESG 공시 로드맵 "결국 다음 정부로"
- 호주, 기후공시 의무화 확정 발표…올해부터 순차 적용
- ISSB 차기 공시 주제, "자연자본‧인적자본 동시 선정 유력"
- 자연자본 공시 기업, 절반 이상 GRI 기준 사용
- 美 캘리포니아, 배출권 거래제 ‘30년 이후까지 연장 추진
- 트럼프 행정부 피소 급증...법원 IRA 보조금 동결에 제동
- 美, '외국 오염물질 부담금법' 발의…최대 55% 관세 부과
- 금융위, ESG 공시 2029년으로 가닥...스코프 3 배출량 공시 유예
- 에퀴노르 주주, 석유∙가스 증산 설명 요구…"파리협정 불일치"
- 국내 기업 내부탄소가격 도마에...사실상 “외부탄소가격”
- “물리적 리스크 공시 가장 어려워...국내 측정 플랫폼 구축해야”
- 민주당, 기후위기대응위원회 출범..."기후산업 적극 육성"
- 국민 59%, “온실가스 감축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 우선해야”
- NBIM, EU에 ESRS‧ISSB 기준 상호운영성 대폭 확대 촉구
- 바젤위원회 은행 기후공시 기준 나오면 한국 영향은?
- 한국 2030 NDC 달성 난망..."탄소세 등 추가 수단 필요”
- 폐기물 탄소배출량 감축목표 결국 미달...미달성 지자체 '수두룩'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