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준희 대구대 교수 CDP 컨퍼런스서 주장
"해외 기관에 의뢰하면 건당 5000만원 넘게 들어"
"기상청 같은 국가 기관이 저가로 정보 제공 바람직"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국내 기업들은 지속가능성 공시(ESG 공시)를 할 때 물리적 리스크를 측정하는 데 가장 큰 애로를 느끼고 있고 이런 어려움이 지속가능성 공시 수용 수준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관련기사
- CDP에 스코프3 공개한 국내 기업 24% 증가
- “ESG공시 '27년부터 시행해야...녹색산업 경쟁력 약화 우려”
- “국회 계류 중인 ESG 관련 법안 797건”...전체 법안 중 15%
- 호주, 기후공시 의무화 확정 발표…올해부터 순차 적용
- [인터뷰] 백태영 ISSB 위원, "국내 기업 SASB기준 산업별 공시 선제 대응 필요"
- 싱가포르 올해부터 ESG공시 의무화…스코프3 공시 준비 미흡
- ESG공시에서 추정치 인증, “결과값보다 합리성 위주로”
- 글로벌 기업 80%, "정치 지형 상관없이 지속가능성 공시 지속"
- IAASB‧IESBA, 지속가능성 공시 인증 지원에 본격 협력
- 국내 대기업, 스코프3 데이터 수집 애로...이중중대성 평가 91%
- ISSB, 배출량 산정 등 기후공시기준 일부 개정...한국 영향은?
- 금융위, ESG 공시 2029년으로 가닥...스코프 3 배출량 공시 유예
- “CSDDD 실사는 매년..실사 체계 모니터링 주기 5년”
- ISSB, 자연자본 공시에 TNFD 기준 활용 검토 착수
- 일본, ISSB 기준에 부합하는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확정
- EU 옴니버스 패키지 국내 기업 영향은..."연결기준 공시 피할 수 없어"
- EU, 택소노미 적합성 자율공시 확대
- EU, 직원 1000명 초과 기업만 ESG공시 의무화...나머지는 자율공시
- NGFS, “질서 있는 탈탄소 전환, ‘30년 세계GDP 감소 0.8%p 낮춰
- “금융기관 탄소시장 진입 가속화”...한국 배출권 금융자산 되려면?
- 국내 산업분류체계 SASB 기준과 불일치..."공시 누락 우려"
- 바젤은행감독委, 은행 자발적 기후공시기준 제시..."관할권 도입 고려"
- “기후변화 물리적 위험으로 내년 글로벌 기업 1.3조달러 손실”
키워드
Tags #CDP #탄소공개 프로젝트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 #ISSB #기후공시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지속가능성 공시 #ESG 공시 #물리적 위험 측정 #전환위험 측정 #현금흐름 #재무적 성과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