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CI 분류체계상 산업 단위 10%, SASB기준 분류체계와 불일치
SASB 기준 공시기업 증가...공식 가이드라인이나 지침 제공 필요
전문가들, SASB 기준 공시 필요성에 공감...중요성 판단에 긴요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SASB)의 산업별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에 따라 공시에 나서는 국내 기업이 늘고 있으나, 국내 산업분류체계와 SASB기준의 산업분류체계의 차이로 일부 산업에 속한 기업은 SASB 기준을 사용해 지속가능성 공시에 나서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관련기사
- [단독] KSSB, "2028년 ESG 법정공시 도입해야...헌법적 의무”
- “물리적 리스크 공시 가장 어려워...국내 측정 플랫폼 구축해야”
- 국내 기업 내부탄소가격 도마에...사실상 “외부탄소가격”
- 캐나다, 기후공시 의무화 늦추기로...미국·EU 영향
- ISSB, 배출량 산정 등 기후공시기준 일부 개정...한국 영향은?
- 금융위, ESG 공시 2029년으로 가닥...스코프 3 배출량 공시 유예
- ISSB, 자연자본 공시에 TNFD 기준 활용 검토 착수
- [인터뷰] 백태영 ISSB 위원, "국내 기업 SASB기준 산업별 공시 선제 대응 필요"
- 싱가포르 올해부터 ESG공시 의무화…스코프3 공시 준비 미흡
- ESG공시에서 추정치 인증, “결과값보다 합리성 위주로”
- 일본, ISSB 기준에 부합하는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확정
- KSSB, 산업별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논의할 전문위 설치
- 이재명 정부, 환경·에너지 정책 전환…“산업계엔 위기이자 기회”
- 바젤은행감독委, 은행 자발적 기후공시기준 제시..."관할권 도입 고려"
- 유럽의회, CSRD·CSDDD 추가 완화 방안 공개
- GRI, 새로운 기후·에너지 공시기준 발표...ISSB 배출량공시 사용 가능
- “지속가능성 공시 ‘27~’28년 도입 가능성”
- ISSB, 9개 산업 SASB 공시기준 개정안 공개
- FSB "다수 국제기구, 관할권 ISSB 기준 도입 중점 지원"
- 국내 지속가능보고서 58%만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 ISSB, TNFD 기준 활용 여부 본격 논의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