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적 정합성" 고려, 프라임 상장회사 겨냥 제정
공시 도입시점은 아직 미정..."2027회계년도 유력"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일본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ESG 공시기준) 제정 기관인 일본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SSBJ)가 5일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기준에 기반한 공시기준을 확정 발표했다.
관련기사
- 글로벌 기업 80%, "정치 지형 상관없이 지속가능성 공시 지속"
- EU 지속가능성 규제 간소화에 이해관계자들 ‘반발’
- EU, 직원 1000명 초과 기업만 ESG공시 의무화...나머지는 자율공시
- 뉴욕주, 기후공시 의무화 법안 발의...통과되면 "게임체인저"
- IAASB‧IESBA, 지속가능성 공시 인증 지원에 본격 협력
- 국내 대기업 70%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전년대비 27%↑
- ESG공시 하란건지 말란건지...금융위, 로드맵 내년 상반기로 또 미뤄
- KSSB, ESG공시 기준서 권고안 의결 연기...로드맵 발표 결국 내년으로
- 영국, ISSB 기준 지속가능성 공시 한발짝
- KSSB 기준, 시나리오 분석으로 기후 회복력 평가 요구...50대 기업 대부분 시행
- ESG공시에서 추정치 인증, “결과값보다 합리성 위주로”
- [인터뷰] 백태영 ISSB 위원, "국내 기업 SASB기준 산업별 공시 선제 대응 필요"
- ISSB 차기 공시 주제, "자연자본‧인적자본 동시 선정 유력"
- EU 집행위, EFRAG에 10월말까지 ESRS 개정 요청
- ISSB, 자연자본 공시에 TNFD 기준 활용 검토 착수
- ISSB, 배출량 산정 등 기후공시기준 일부 개정...한국 영향은?
- “물리적 리스크 공시 가장 어려워...국내 측정 플랫폼 구축해야”
- NBIM, EU에 ESRS‧ISSB 기준 상호운영성 대폭 확대 촉구
- 국내 산업분류체계 SASB 기준과 불일치..."공시 누락 우려"
- ISSB 기준 채택·사용 관할권 36개로 늘어...사례집 발간 예정
- 英, ISSB기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초안 발표…전환계획 논의도 시작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