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 내용 결정하는 중요성 판단에도 SASB 기준 유용
ISSB, SASB 기준 12개 산업 공시 항목‧지표 우선 개정
개정 초안 공개 후 의견수렴 거쳐 확정
의견수렴 기간 중 국내 기업 적극 참여해 의견 개진할 필요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백태영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위원은 25일 "국내 기업들이 지속가능성회계기준위원회(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SASB)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에 기반한 산업별 공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자연자본 공시 기업, 절반 이상 GRI 기준 사용
- 싱가포르 올해부터 ESG공시 의무화…스코프3 공시 준비 미흡
- 일본, ISSB 기준에 부합하는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확정
- ISSB 기준 채택 30개국 중 29개국 스코프 3 공시 요구 고려
- 온실가스 배출량 등 ESG 정보, “재무성과와 상관관계 입증”
- ISSB, "기업 인적자본 관련 위험에 투자자 관심 커져"
- ISSB, "투자자들 자연자본의 재무적 영향과 위험관리 정보 요구 크다"
- ISSA 5000 국내 도입 이견 팽배...“ESG 공시 인증 본격 논의할 시점“
- 국내 대기업 70%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전년대비 27%↑
- 국내기업 TNFD 공시 미흡...재무영향‧자연자본 관련 지표·목표 공시해야
- ESG 공시, “추정치에 대한 우려 지나쳐...추정 근거 명확히 밝히면 된다”
- ISSB 차기 공시 주제, "자연자본‧인적자본 동시 선정 유력"
- 기후변화 못지않게 물 문제 중요..."기업 대응 소극적"
- EU 집행위, EFRAG에 10월말까지 ESRS 개정 요청
- ISSB, 자연자본 공시에 TNFD 기준 활용 검토 착수
- ISSB, 배출량 산정 등 기후공시기준 일부 개정...한국 영향은?
- “물리적 리스크 공시 가장 어려워...국내 측정 플랫폼 구축해야”
- NBIM, EU에 ESRS‧ISSB 기준 상호운영성 대폭 확대 촉구
- 구찌 모기업 케링의 눈에 띄는 물 관리...협력사 참여 필수
- “국내 지속가능경영보고서·SASB 점검”…공인회계사회 21일 포럼
- [단독] KSSB, "2028년 ESG 법정공시 도입해야...헌법적 의무”
- 국내 산업분류체계 SASB 기준과 불일치..."공시 누락 우려"
- KSSB, 산업별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논의할 전문위 설치
- 기후공시 의무화한 싱가포르...고개드는 중소·중견기업 유예 요구
- “지속가능성 공시 ‘27~’28년 도입 가능성”
- 여야 ‘ESG 공시 제도화’ 한 목소리...국회ESG포럼 세미나 개최
- ISSB S1 공시 예시 들여다 보니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