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지속가능성 공시기준과의 상호운영성 개선 주문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유럽재무보고자문그룹(EFRAG)에 오는 10월31일까지 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ESRS) 개정을 마무리해 달라고 요청했다.
관련기사
- ISSB 차기 공시 주제, "자연자본‧인적자본 동시 선정 유력"
- [인터뷰] 백태영 ISSB 위원, "국내 기업 SASB기준 산업별 공시 선제 대응 필요"
- 자연자본 공시 기업, 절반 이상 GRI 기준 사용
- ESG공시에서 추정치 인증, “결과값보다 합리성 위주로”
- 일본, ISSB 기준에 부합하는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확정
- EU 옴니버스 패키지 국내 기업 영향은..."연결기준 공시 피할 수 없어"
- EU 지속가능성 규제 간소화에 이해관계자들 ‘반발’
- EU, CBAM 대상 산업 ETS 업종으로 확대 여부 평가하기로
- EU 공급망실사지침(CSDDD), ‘28년부터 시행
- EU, 직원 1000명 초과 기업만 ESG공시 의무화...나머지는 자율공시
- 인도, 지속가능성 공시제도 완화...“중소기업 부담 감안”
- [정책브리핑] 산업부, EU 탄소국경조정제도 관련 업계 간담회 개최
- NBIM, EU에 ESRS‧ISSB 기준 상호운영성 대폭 확대 촉구
- 바젤위원회 은행 기후공시 기준 나오면 한국 영향은?
- EU 기업 실무진 61% "기존 CSRD 유지에 찬성"
- 미국 탄소국경세 도입시 "5년간 재정수입 최대 1981억달러"
- 택소노미 공시 어떻게?..."공시 방법론 연구 필요"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