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는 공시 의무화...한국은 자율 공시
"국내 공시 방법론 연구와 사례 도출 필요"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유럽연합(EU)은 택소노미를 통해 녹색경제활동을 정의하고 규제로 이에 부합하는 재무정보 공개를 의무화하고 있다. 기업지속가능성공시지침(CSRD)이나 지속가능성 금융규제(SFDR)과 긴밀한 연관성을 갖고 있으나, 이에 따른 공시와 별도로 이를 공시해야 한다.
관련기사
- 기후 싱크탱크 3곳, 새 정부에 기후금융 10대 정책 제안
- 유럽의회, CSRD·CSDDD 추가 완화 방안 공개
- EU, 탈원전서 ‘원자력 확대’로 대전환...원전 산업 새국면 맞나
- [단독] 기재부, 전환금융가이드라인 내년 발표...'전환 택소노미' 시동
- 한국 원전, 택소노미 인정기준 충족 여부 “불확실”
- EU, 택소노미 적합성 자율공시 확대
- EU 집행위, EFRAG에 10월말까지 ESRS 개정 요청
- EU, 직원 1000명 초과 기업만 ESG공시 의무화...나머지는 자율공시
- 英, ISSB기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초안 발표…전환계획 논의도 시작
- 기상재해 갈수록 태산..."올해 보험 프로텍션 갭 5% 증가"
- EU 기업 및 투자자 150곳 이상, "지속가능성 규제 약화 반대"
- EU, 탄소 크레딧 사용 규정 마련...무결성 기준 등 포함
- 英, '그린 택소노미' 수립 계획 철회...연내 UK SRS 최종 기준 발표
- EU 탄소배출권 가격 '게걸음'..."내년 상승 전환" 전망
- 국내 지속가능보고서 58%만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 유럽사법재판소, 원전·가스 택소노미 포함 정당성 인정
- CSRD·CSDDD 추가 완화안 유럽의회 법사위 통과…적용 대상 더 축소
- EU 의회, CSDDD 완화안 더 손보기로 의견 모아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