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배출량 정보 무엇보다 중요...검증 50%대 큰 문제”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지난 2023년 회계연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행한 국내 기업 중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검증 의견서를 제시한 기업은 약 58% 정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 KSSB 기준으로 공시하면 “NF3 온실가스 배출량에 포함”
- 한경협, “금융위는 ESG 공시 로드맵 조속히 확정해야”
- 이재명 정부 ESG 정책 강화...“지속가능성 공시, 정책 대응 핵심 수단”
- ISSB, 9개 산업 SASB 공시기준 개정안 공개
- “지속가능성 공시 ‘27~’28년 도입 가능성”
- GRI, 새로운 기후·에너지 공시기준 발표...ISSB 배출량공시 사용 가능
- 택소노미 공시 어떻게?..."공시 방법론 연구 필요"
- 유럽의회, CSRD·CSDDD 추가 완화 방안 공개
- 국내 산업분류체계 SASB 기준과 불일치..."공시 누락 우려"
- [단독] KSSB, "2028년 ESG 법정공시 도입해야...헌법적 의무”
- "포스코홀딩스, 스코프3 배출량 보완 필요"...중대재해 9건 발생
- IASB, 10월 재무제표에 기후위험 반영 예시 공개...공시필요 사례는?
- 삼성전자, 국제기준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NF3 첫 포함
- SK하이닉스, 온실가스 감축 조기 달성…통합재해율 14.7% 증가
- 국정위, 지속가능성 공시 로드맵 조속히 마련 주문
- LS, 지난해 주요 계열사 5곳 온실가스 배출량 ‘22년 대비 11% 감축
- 이억원, 지속가능성 공시 “주요국 동향 보면서 늦지 않게”
- GHG 프로토콜-ISO, 배출량 측정·보고 기준 공동 개발...배경은?
- ISSB, TNFD 기준 활용 여부 본격 논의
- EU, “ISSB 공시 정보 ESRS 공시 활용 고려 중”
- GHG 프로토콜, 스코프2 보고 지침 10년 만에 전면 개정 추진
- GHG 프로토콜-ISO, 제품 수명주기 탄소발자국 기준 공동개발 착수
키워드
Tags #지소가능경영보거서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제한적 확신 #합리적 확신 #김임현 교수 #이효섭 선임연구위원 #지속가능성 정보와 재무정보 연계성 #GHG 프로토콜 #조직경계 #통제적 접근법 #운영통제 #재무통제 #지분율 접근법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