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관리위, "기후 리스크 핵심 사안 여전"
해외 동향 점검 후 공시 로드맵 확정하기로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캐나다가 자국 기업에 대해 추진 하려던 기후 공시 의무화 도입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미국이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기후공시 의무화를 중단했고 유럽연합도 옴니버스 패키지를 통해 ESG 공시를 간소화 하기로 하자, 이와 같은 동향을 보다 면밀히 점검한 뒤 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판단에서다.
캐나다 증권관리위원회(CSA)은 지난 23일 보도자료를 통해 기후 공시 의무화와 다양성 관련 공시 요구 사항에 대한 법제화 작업을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다. CSA는 미국 등 전 세계적인 공대 대응 변화 흐름에 따라 자국 시장과 공시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의도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12월 캐나다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CSSB)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기준에 기반한 자국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CSDS)을 확정 발표했다. 기업은 올해부터 이 공시 기준을 자발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CSA는 캐나다의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화를 위해선 CSSB 기준이 당국의 증권법 관련 규정에 통합되어야 한다면서, 기후 공시를 우선으로 한 공시 의무화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를 중단한 조치에 대해 CSA 스탠 매기슨 의장은 “최근 세계 경제와 지정학적 환경의 크고 급격한 변화로 불확실성과 공시 대상 기업의 경쟁력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며 “캐나다 시장을 더욱 경쟁력 있고 효율적이며 탄력적으로 만드는 조치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CSA는 "기후 리스크가 여전히 기업 경영에 있어 핵심적인 사안"이라며, "지속가능성 공시 및 다양성 공시와 관련한 국내외 동향을 관찰한 후 재검토를 통해 공시 요건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기업의 공시 관행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그린워싱 등 허위 공시에 대처하기 위해 노력하며 적절한 정보와 추가 지침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ESG투데이에 따르면 CSSB 차기 의장 웬디 버먼은 “시장 상황에 따라 규제 접근 방식이 진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나, 신뢰할 수 있고 비교 가능한 지속가능성 정보에 대한 요구는 국내 및 전 세계적으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캐나다 환경 보호 단체(EDC)의 기후금융 담당 수석 줄리 시걸은 이같은 조치가 “기업들의 준비 부족과 투자자들의 정보 부족, 캐나다 경제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뿐”이라며 “완전한 기후 공시와 신뢰할 수 있는 전환 계획의 요구가 캐나다를 보호하는 것”이라 촉구했다.
관련기사
- ISSB, 배출량 산정 등 기후공시기준 일부 개정...한국 영향은?
- 금융위, ESG 공시 2029년으로 가닥...스코프 3 배출량 공시 유예
- 트럼프 기후정책 후퇴의 역설...기업 '물리적 위험' 커진다
- ISSB, 자연자본 공시에 TNFD 기준 활용 검토 착수
- ISSB 차기 공시 주제, "자연자본‧인적자본 동시 선정 유력"
- 캐나다, 은행·보험사 금융배출량 공시 의무 3년 연기
- 마크 카니 총리가 이끌 캐나다, 기후에너지 정책 방향은?
- EU 기업 실무진 61% "기존 CSRD 유지에 찬성"
- 국내 산업분류체계 SASB 기준과 불일치..."공시 누락 우려"
- 캐나다 퀘백주 연기금, ‘30년까지 탈탄소 기업에 546조 투자 계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