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대선 후보 TV토론 에너지 관련 발언 “상당수 사실 아냐”

  • 기자명 김현경 기자
  • 입력 2025.05.22 16:27
  • 수정 2025.05.22 23:25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에너지전환포럼, TV대선토론 에너지부문 팩트체크 발표
풍력 국산 자재 다수 사용...태풍 시 전체 가동중단 드물어
데이터센터 "원전 건설기간 길어...해외 ESS 등으로 간헐성 보완"
원자폭탄 떨어져도 원전은 안전?...물리적·기술적 현실 동떨어져

제주도 해상에 위치한 해상풍력발전 단지의 풍력발전기가 돌아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주도 해상에 위치한 해상풍력발전 단지의 풍력발전기가 돌아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최근 실시된 대선 후보자 TV토론 중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의 에너지 관련 발언 중 상당수가 사실과 다르거나 왜곡된 정보를 담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에너지전환포럼(이하 포럼)은 지난 18일 실시된 대선 후보자 TV토론의 에너지 관련 발언을 분석한 '대선 TV토론 에너지 부문 팩트체크'를 22일 발표했다. 

포럼은 팩트체크를 통해 ▲풍력발전 산업의 외국 의존도 ▲풍력의 불안정성 ▲재생에너지 기반 데이터센터 우려 ▲핵폭탄에 대한 원전 안전성 등의 주제에 대한 다수의 발언들이 기술적 현실 또는 국제적 비교 기준과 맞지 않거나 과장된 주장이라고 밝혔다.

먼저 토론회에서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풍력발전 같은 경우에는 개발 및 운영 66%, 제조에 83.4%, 금융에 100%가 외국에 넘어가 있고, 대부분이 중국 쪽”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타워분야 세계 점유율 1위의 CS윈드, 해저케이블 부문의 글로벌 강자인 LS전선 등 수많은 국산 기자재가 국내 해상풍력 사업의 주요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게 포럼의 설명이다. 아울러 터빈과 블레이드 등 일부 부품을 세계 시장에서 유럽과 중국이 장악한 건 사실이나, 국내에 진출해있는 기업은 대부분 유럽 기업이라고 반박했다.

자료=제주대 김범석 교수. 에너지전환포럼 제공
자료=제주대 김범석 교수. 에너지전환포럼 제공

태풍이 오면 가동을 중단해야 한다는 이 후보의 주장 역시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포럼은 최근 생산되는 14MW급 대형 터빈은 더 높은 풍속에서도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해 풍속 28~31m/s까지 작동이 가능하다며, 따라서 태풍 상황에서 모든 풍력발전단지가 동시에 멈추는 경우는 드물다고 밝혔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북태평양에서 발생한 26개 태풍의 최대 발달 강도 분포 중 가장 많은 약 58%가 ‘중(25m/s 이상~33m/s 미만)’ 이하에 달했다.

아울러 태풍이 가장 많이 통과하는 국가인 대만에서도 해상풍력을 지속적으로 빠르게 확대하고 있으며, 태풍으로 가동이 멈춰 전력수급에 문제가 된 경우는 없었다고 덧붙였다.

포럼은 오히려 태풍으로 인해 원전이나 송전망이 훼손되어 멈춘 사례가 더 많았다고 밝혔다. 한국에서도 태풍 ‘매미’와 ‘마이삭’, ‘하이선’ 등으로 원자력 발전기가 한꺼번에 가동 중단되거나 최소 출력으로 운전하게 되면서 전력수급에 영향을 준 사례가 있다.

재생에너지 기반 데이터센터의 안정성에 대한 이 후보의 우려에 대해서도 사실과 멀다고 봤다.

포럼은 미국, 유럽, 대만 등에서는 이미 풍력·태양광 기반 데이터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며, 에너지 저장장치(BESS)나 하이브리드 전원 조합 등을 통해 간헐성을 보완하는 다양한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특히 원전을 활용하려는 일부 시도는 있으나 “데이터센터는 평균 24개월 내에 건설되지만 전력공급용 원전 설비는 평균 90개월 이상의 긴 기간이 소요되어 시기적으로 맞지 않아 실제 사업으로 이어진 사례는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원자폭탄이 떨어져도 원전은 안전하다는 김문수 후보의 발언에 대해서는 물리적·기술적 현실을 동떨어진 것으로 평가했다.

핵폭탄은 원전의 격납건물은 물론, 필수 시스템을 마비시킬 수 있는 수준의 위력을 갖고 있으며, 일반 건물과 크게 다르지 않은 부속시설인 사용후핵연료 저장수조가 파괴되면 대규모 방사능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대체적인 지적이다.

윤순진 에너지전환포럼 공동상임대표는 “대통령 후보자들이 국가 에너지정책의 미래를 책임질 입장에 있는 만큼, 과학적 사실과 국제적 기준에 기반한 정보 전달이 중요하다”며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국민의 불안을 조장하거나 정책 혼선을 초래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