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정책부터 각 산업 부문 탈탄소화 규제까지 비교 분석
이재명 "'40년까지 석탄화력발전 폐쇄...RE100 산업단지 조성"
김문수 "원전 60%까지 확대...기후환경부로 기후재난 선제 대응"
권영국 "'35년 탈석탄·재생에너지 비중 60% 확대...2040년 탈핵"
이재명,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탄소중립 중심의 산업전환”
관련기사
- 대선 후보들 에너지정책 격돌…재생에너지 비중·활용방식 '제각각'
- 민주당, 10대 공약에 '기후에너지부' 신설 왜 빠졌나
- 국민의힘, 기후재난 대응할 ‘기후환경부’ 설치...원전 60% 달성
- 민주당 에너지공약, “재생에너지 중심, 원전도 보조수단 활용”
- 민주당, ‘한국판 IRA’ 공약으로…기후에너지부 신설도 검토
- 대선 후보 전력망 공약...에너지 ‘고속도로’ vs ‘그물망’ 충돌
- 국민 59%, “온실가스 감축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 우선해야”
- 민주당, 기후위기대응위원회 출범..."기후산업 적극 육성"
- [스페셜 리포트] 21대 대선 주요 후보 '사회' 부문 공약 비교
- 이재명 "ESG 공시 의무화 조기 시행...로드맵 제시할 것"
- 대선 퍼주기 공약들 어쩌나...“재원 조달 로드맵은 집권 이후에”
- 김문수 "재생에너지 구매 세액공제 확대·산업단지 저탄소에너지 도입"
- “탄소장벽 5년내 현실화...새정부, '30년 재생에너지 30%로 상향”
키워드
Tags #대선 #대통령선거 #더불어민주당 #민주당 #국민의힘 #개혁신당 #민주노동당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권영국 #기후에너지 #재생에너지 #탈석탄 #NDC #탄소중립산업전환 #탈탄소화 #생물다양성 #기후재난 #기후대응
김연지 기자
kimyj@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