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정책브리핑] 화학물질안전원, 반도체·디스플레이 '한국형 위험평가' 도입

  • 기자명 김현경 기자
  • 입력 2025.06.30 09:33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학물질 누출 사고에 대비한 훈련. 영산강유역환경청=연합뉴스
화학물질 누출 사고에 대비한 훈련. 영산강유역환경청=연합뉴스

반도체·디스플레이 '한국형 위험평가' 도입…화학사고 범위개선

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은 국가첨단전략산업인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현장 특성을 반영한 '한국형 위험평가 체계'의 도입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화학물질안전원은 30일 청주시 안전원에서 업계 공청회를 개최하고, 내달 10일부터 10일간 행정예고를 할 계획이다.

'한국형 위험평가 체계'에서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캐비닛형 가스공급설비의 배출시설 형태를 고려해 가스(염소) 누출 등이 발생할 경우 화학사고 피해 영향범위를 합리적으로 개선해 평가에 반영했다.

지금까지는 반도체·디스플레이 화학사고 피해 영향범위 산정은 일률적으로 석유화학 취급시설 기준의 미국화학공학회 지침이 적용됐다. 그러나 이 지침을 적용하면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현장의 피해 영향범위가 실제 발생할 수 있는 것보다 과도하게 예측돼 기업의 안전 관리체계 구축 비용이 커지는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화학물질안전원은 개선된 평가방식을 반영할 시 가스 누출의 경우 적정한 안전장치를 설치한 사업장은 기존 평가방식보다 피해 영향범위가 약 36% 축소되고, 안전장치가 미흡한 사업장은 약 99.2% 확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하반기부터 '한국형 위험평가 체계'를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현장에 도입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