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한 진단과 적절한 시기에 수술 시행한다면 충분히 개선 가능
백내장은 노년층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시력 질환 중 하나로, 국내 60세 이상 인구의 절반 이상이 백내장을 경험하거나 진단받은 이력이 있을 정도로 발병률이 높다. 백내장은 노화로 인해 수정체가 혼탁해지면서 빛의 투과가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시야가 뿌옇게 흐려지는 질환이다. 자각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도 오랜 기간 이상을 인지하지 못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백내장의 주요 원인은 노화이지만, 그 외에도 당뇨병, 자외선 노출, 외상, 스테로이드 약물의 장기 복용, 유전적 요인 등이 백내장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고령 인구가 증가하면서 백내장 환자 수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백내장 수술의 수요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초기 백내장은 시야 흐림, 눈부심, 야간 운전 시 불편함 등의 증상으로 시작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색감이 바래 보이거나 이중으로 보이는 증상까지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일상생활의 기본적인 시각 활동조차 어려워진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시력 교정을 위한 안경이나 렌즈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 백내장의 유일한 치료 방법은 수술이다. 수술은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한 뒤 인공 수정체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국소 마취 하에 약 15~20분 정도의 짧은 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보통 절개 부위가 작고 회복이 빠르며, 대부분 입원 없이 당일 퇴원이 가능하다.
삽입되는 인공 수정체는 크게 단초점 렌즈와 다초점 렌즈로 나뉜다. 단초점 렌즈는 하나의 거리(주로 원거리)만을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하여 경제적 부담이 적은 편이다. 하지만 근거리 시력은 여전히 안경에 의존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다초점 렌즈는 원거리와 근거리, 중간거리를 동시에 교정할 수 있어 노안까지 함께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수술 방법은 환자의 눈 상태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맞춤 선택이 가능하다.
백내장은 노안과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활용하면 두 질환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만족도가 높다. 노안을 동반한 환자의 경우, 단초점 렌즈로는 근거리 작업에 지속적인 불편을 느끼게 되지만 다초점 렌즈를 사용하면 책 읽기, 스마트폰 보기, 요리 등 일상적인 근거리 활동도 안경 없이 가능해진다.
백내장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시력 변화이지만, 그 불편을 참거나 방치하지 않고 정밀한 진단과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시행한다면 충분히 개선이 가능하다. 흐릿한 시야, 빛 번짐, 색감 저하 등의 증상이 느껴진다면 안과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눈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고, 본인에게 맞는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도움말 글로리서울안과 구오섭 대표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