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해외브리핑] 폭염으로 유럽 원전 가동중단 3배↑…상황 악화 우려

  • 기자명 김현경 기자
  • 입력 2025.08.12 10:03
  • 수정 2025.08.13 10:50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프랑스 원전, 해파리 떼 유입으로 4기 가동 중단
EBA, 은행 대상 신규 ESG공시 의무 유예 권고…옴니버스 대기
트럼프 EV 세액공제 폐지 임박…캘리포니아 보조금 재개안 지지부진
벤츠 CEO, EU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계획 비판
오스테드, 유상증자 추진 발표후 주가 32% 하락...최대 낙폭 기록

프랑스 시보에 위치한 프랑스전력공사(EDF)의 원자력 발전소 냉각탑에서 수증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프랑스 시보에 위치한 프랑스전력공사(EDF)의 원자력 발전소 냉각탑에서 수증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유럽 폭염으로 원전 가동 중단 증가…기후변화로 상황 악화 전망

유럽 전역에서 발생하는 폭염으로 인해 원자력발전소의 가동 중단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냉각수 온도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폭염의 강도와 기간이 길어지면서 이 같은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 경제학(Energy Economics) 학술지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원전 기상 관련 가동 중단은 1990년부터 2009년 기간에 비해 3배 증가했다. 현재로서는 이를 완화할 뚜렷한 대책이 부족한 상황이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8-08/heat-waves-are-a-growing-threat-to-europe-s-nuclear-power-supply?srnd=phx-green

프랑스 원전, 해파리 떼 유입으로 4기 가동 중단

프랑스 북부 그라블린 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 4기가 지난 10일 냉각수 유입 경로에 대규모 해파리 떼가 들어오면서 가동이 중단됐다. 운영사인 EDF는 이번 현상이 해수 온도 상승과 관련이 있으며, 지구온난화의 영향일 가능성이 높다고 11일 설명했다.

그라블린 원전은 프랑스 대규모 원전 중 하나로 총 6기의 원자로가 각각 900메가와트를 생산해 전체 5.4기가와트의 전력을 공급한다. 원전은 북해와 연결된 운하의 물을 냉각수로 사용한다.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swarm-jellyfish-shuts-french-nuclear-plant-2025-08-11/

EBA, 은행 대상 신규 ESG공시 의무 유예 권고…옴니버스 대기

유럽은행감독청(EBA)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의 지속가능성 규제 간소화 방안인 ‘옴니버스 개정안’이 나올 때까지 은행 대상 새로운 ESG 필러 3 공시 의무의 집행을 유예하라는 ‘노 액션 레터(no action letter)’를 발표했다.

이번 권고는 지난해 발표된 EU의 ‘뱅킹 패키지(CRR3)’에 따른 공시 요건 변경에 대한 것으로, 올해부터 은행은 기후 관련 물리적·전환 리스크, 사회·지배구조 리스크, 화석연료 부문 익스포저(위험 노출액)와 ESG 리스크 통합 현황 등을 별도로 공시해야 한다. EBA는 이 규제 집행의 명확성이 확보될 때까지 유예를 권고한 것이다.

https://www.esgtoday.com/eba-instructs-regulators-to-hold-off-on-enforcement-of-esg-disclosure-requirements-for-banks/

트럼프 EV 세액공제 폐지 임박…캘리포니아 보조금 재개안 '지지부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주요 전기차 세액공제를 폐지할 예정인 가운데,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연방 세액공제 종료에 대비해 약속한 주 차원의 전기차 보조금 재개 추진에 아직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다.

뉴섬 주지사는 지난해 연방 세액공제가 중단될 경우 전기차 구매자에게 최대 7500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주 프로그램을 재가동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서명한 ‘크고 아름다운 법(OBBBA)’ 통과로 연방 세액공제 혜택은 내달 30일 종료될 예정이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8-11/california-stalls-on-ev-subsidies-as-trump-cuts-federal-rebate?srnd=phx-green

벤츠 CEO, EU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계획 비판

메르세데스벤츠 올라 칼레니우스 최고경영자(CEO)가 2035년부터 내연기관차 신차 판매를 금지하는 유럽연합(EU) 계획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그는 11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해당 정책에 대한 “현실적인 점검”이 필요하며, 이대로 진행 시 유럽 자동차 시장이 “붕괴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해당 금지안은 유럽의 친환경 목표 달성에 필수적이라는 지지론이 있는 반면, 비판론자들은 수요 부진과 중국과의 경쟁, 기대에 못 미치는 전기차 판매 실적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유럽 완성차 업체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climate-energy/mercedes-ceo-calls-reality-check-slamming-eu-combustion-engine-ban-2025-08-11/

오스테드, 유상증자 추진 발표후 주가 32% 하락...최대 낙폭 기록

덴마크 풍력발전 개발업체 오스테드(Orsted) 주가가 11일 최대 32% 하락하면서 사상 최대치의 낙폭을 기록했다. 이는 회사가 미국 풍력발전 프로젝트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600억 덴마크크로네(약 13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한다고 발표한 이후다.

오스테드는 당초 미국 내 사업 파트너를 찾으려 했으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풍력발전에 대한 부정적 입장이 투자 유치에 걸림돌로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8-11/orsted-fails-to-convince-investors-it-s-through-the-worst?srnd=phx-green

인도네시아, 내년부터 바이오디젤 혼합률 50% 확대 계획 재확인

인도네시아 정부가 내년부터 바이오디젤에 함유되는 팜유 비율을 50%로 높이는 ‘B50’ 프로그램을 시행하겠다는 계획을 재확인했다. 다만 에너지부 고위 관계자인 에니야 리스티아니 데위는 내년 1월부터 시작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11일 기자들에게 밝혔다.

현재 인도네시아는 바이오디젤에 40%의 팜유를 혼합하는 B40 정책을 시행 중이며, 자국산 팜유 비중 확대를 통해 수입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인다는 방침이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climate-energy/indonesia-aims-launch-b50-biodiesel-2026-unlikely-january-2025-08-11/

말레이시아 팜유 재고, 5개월 연속 증가…2년 만에 최고치

말레이시아 팜유 재고가 7월까지 5개월 연속 증가하며 약 2년 만에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산업 규제기관 자료에 따르면, 이는 생산 증가 속도가 수출 증가를 웃돌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세계 2위 팜유 생산 국가인 말레이시아의 재고 확대는 국제 팜유 선물가격에 하방 압력을 가할 수 있다. 현재 말레이시아 팜유 선물은 약 4개월 만에 최고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climate-energy/malaysias-palm-oil-stocks-rise-highest-nearly-two-years-2025-08-11/

중국 티베트 메가댐, 환경·사회 영향 우려로 '그린파이낸싱' 심사 강화

중국이 티베트에 건설 중인 1조2000억 위안(약 232조원) 규모의 메가댐 프로젝트가 대규모 수력발전의 잠재적 환경 및 사회적 영향을 이유로 친환경 금융(그린파이낸싱) 접근 시 엄격한 심사를 받을 전망이다.

서스테이너블 피치(Sustainable Fitch)의 네네카 치케-오비 아시아태평양 ESG 평가·연구 책임자는 11일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은행과 투자자들은 대형 수력발전 사업이 물 이용 가능성, 야생동물 및 지역 생태계에 미치는 위험을 충분히 인지했는지 면밀히 검토한다고 밝혔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8-11/lenders-seen-scrutinizing-china-mega-dam-s-green-finance-risks?srnd=phx-green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