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투자 기준은 'ESG평가등급'..."시가총액 순위와 별 차이없어"
말로만 기후 '중점관리'...중점관리 대상 기업 한 곳도 없어
"위탁자산 책임투자 대부분 ESG워싱"...형식적 코드만 만들어놔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국민연금의 국내외 주식투자 자산 전체가 책임투자로 분류된 가운데 국민연금의 책임투자 기준이 느슨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관련기사
- 국민연금, '말로만' 기후변화 관리…실제 관리 "전무"
- 시민단체, 국민연금 석탄투자 감사 청구…"석탄투자 제한 전략 느슨”
- 새 금융당국 수장 살펴보니...'생산적 금융'·’주주권익 보호’에 무게
- 거꾸로 가는 금융권...신재생보다 화석연료에 7배 더 투자
- 이재명 정부 ESG 정책 강화...“지속가능성 공시, 정책 대응 핵심 수단”
- 기후 싱크탱크 3곳, 새 정부에 기후금융 10대 정책 제안
- 국민 44% "국민연금 석탄투자 축소해야"...ESG투자 고려 요구도
- 국내 ESG 금융 5년간 213% 급성장...공적금융이 주도
- 국민연금 'ESG 투자' 의무화 시급..."수익성과 ESG 모순 아냐"
- 韓, 해운 좌초자산 리스크 글로벌 1위…수은, LNG선에 41.3조 대출
- "국민연금 책임투자 위탁자산 97% 'ESG워싱'...ESG공시 강화해야"
- 금융위, 스튜어드십 코드 내실화 계획..."세부 방안 연내 발표 검토"
키워드
Tags #국민연금 #스튜어드십코드 #ESG투자 #책임투자 #기후 스튜어드십 #전진숙 의원 #박주민 의원 #신장식 의원 #기후솔루션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경제개혁연대 #국민연금기후행동 #ESG평가 #거버넌스 #외부운용 #탄소집약도
김연지 기자
kimyj@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