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 불편 줄 경우 적합한 교정술 선택해 적극적인 치료 고려해야
노안은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의 탄력성이 떨어지고, 이를 조절하는 모양체 근육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가까운 거리를 보는 데 어려움이 생기는 안질환이다. 일반적으로 40세 전후로 시작되며, 책이나 스마트폰을 볼 때 글자가 뿌옇게 겹쳐 보이고 초점이 쉽게 맞지 않아 멀리 떨어뜨려야 하는 불편이 동반된다. 이러한 증상은 단순한 눈의 피로나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눈 내부 구조의 변화에서 비롯된다.
최근에는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중장년층의 사회활동과 여가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노안이 개인의 생활 만족도와 업무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컴퓨터 사용이 많은 직장인, 운전이 잦은 사람, 장시간 독서와 학습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작은 시력 저하도 누적된 불편으로 이어진다. 특히 노안은 백내장, 황반변성 등 다른 안질환과 함께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필수적이다.
노안의 개선 방법으로는 맞춤형 인공수정체 삽입술이 대표적이다. 수정체를 제거한 뒤 환자의 생활 패턴에 맞는 렌즈를 삽입해 근거리와 원거리 초점을 동시에 확보하는 방식이다. 단초점 렌즈는 특정 거리 교정만 가능하지만, 다초점 렌즈는 독서 및 컴퓨터 작업, 운전 등 다양한 거리에서 선명한 시야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빛 번짐을 줄이고 시야의 연속성을 높인 연속초점형 렌즈, 노안과 백내장을 동시에 교정할 수 있는 다초점 인공수정체 렌즈 등 환자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
또한 노안 교정 분야에서는 레이저를 활용한 각막 교정술이나 두 눈의 초점을 다르게 맞추는 모노비전 방식 등 다양한 시술 방법도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눈 상태와 생활 환경에 따라 효과가 다르므로 충분한 상담과 정밀 검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인공수정체 삽입술이 백내장 수술과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백내장이 동반된 중장년층에게는 두 질환을 한 번에 개선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노안은 피할 수 없는 노화 과정 중 하나이지만 방치할 경우 시력 저하로 인해 사회적 활동이나 자율성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40세 이후에는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조기 진단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증상이 일상에 불편을 줄 경우 적합한 교정술을 선택해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도움말 글로리서울안과 구오섭 대표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