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 가격 하한제 도입 가능성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유럽연합과 중국이 브라질이 주도하는 ‘규제적 탄소시장을 위한 개방형 연합체(Open Coalition for Compliance Carbon Market)’에 참여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 구글, 아마존 재조림 기업과 연 20만톤 탄소크레딧 계약 체결
- 넷제로 금융연합 붕괴로 지속가능 보험 후퇴?...탄소보험 등 ”기회 요인에 주목해야”
- [2026 ESG 트렌드]② EU, 트럼프 방해에도 ESG 제도 차근차근 시행
- [2026 ESG 트렌드]① SEC 기후공시 무산에도 미국은 기후공시 도입국
- COP 30 추진 탄소가격제 연합 효과는?
- 유럽의회 일부 의원, ETS2 시행 3년 연기 추진
- 4차 계획기간 시장안정화 예비분 8528만톤...계획보다 줄어
- NZAOA, 규제적 탄소시장에 탄소 제거 크레딧 포함 촉구
- 탄소 가격 강세 전망 지배적...국내 배출권 가격도 상승 전망
- [2026 ESG 트렌드]⑦ 기준과 표준 통합 추세…ISSB 기준 사용 확대
- 中 배출권 가격 20일새 30% '껑충'…시장구조 전환 주목
- 탄소 배출권 위탁 거래 개시...내년 ETF‧ETN 도입 추진
키워드
Tags #탄소가격제 #규제적 탄소시장 #탄소배출권 거래제 #배출권 가격 하한선 #브라질 주도 탄소 연합 #규제적 탄소시장을 위한 개방형 연합 #COP 30 #EU 중국 탄소연합 참여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