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ESG 기류 속에서도 글로벌 지속가능 투자 증가 전망
ESG 채권 발행 늘며, 기업의 녹색 자본조달 가속화될 듯
한국 ESG·유럽 CSRD공시 의무화 본격 시행
[ESG경제신문=이진원 기자] 올해 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반ESG 공세가 거세지고 있지만 내년에도 ESG 투자는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 [2026 ESG 트렌드]④ 중대재해, 기업가치 주요변수…ESG평가 직결
- [2026 ESG 트렌드]③ '착한 보고서' 시대 끝났다…세부규제 전문적 대응이 생존조건
- [2026 ESG 트렌드]② EU, 트럼프 방해에도 ESG 제도 차근차근 시행
- [2026 ESG 트렌드]① SEC 기후공시 무산에도 미국은 기후공시 도입국
- [2026 ESG 트렌드]⑥AI, ESG의 동반자…지속가능경영 새 엔진으로
- 中, 글로벌 녹색채권 시장서 美·유럽 추월...친환경 프로젝트 선도
- [2026 ESG 트렌드]⑦ 기준과 표준 통합 추세…ISSB 기준 사용 확대
- EU, SFDR 간소화...투자 상품 3개 카테고리로 분류
이진원 기자
jw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