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30년까지 사고사망만인율 OECD 평균 수준으로 낮출 것”
건설안전특별법 제정·중대재해 반복 발생 시 과징금 및 영업정지 등
금융위, 중대재해 ESG평가 직결…수시공시 신설 등 공시반영 고도화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중대재해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현장의 안전 문제’를 넘어 기업가치·자본조달·ESG 등급에까지 직결되는 국면에 들어섰다. 한 번의 사고가 기업의 신용·평판·주가·대출조건을 동시에 흔들 수 있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관련기사
- [정책브리핑] 노동부, 중대재해 감축 총력…매주 상황점검회의
- [정책브리핑] 상장사 중대재해 공시 의무화…ESG 평가에도 반영
- [정책브리핑] 산재사망 반복 기업 영업익 5% 과징금·건설사 등록말소
- 중대재해 책임 공공기관장 해임 가능해진다…정부, 법적 근거 마련
- 산재 ESG평가에 일괄 반영...정부 하반기 추진과제 ESG 대거 포함
- 정부, 공공공사 심사시 중대재해 감점…안전항목 평가비중 확대
- [정책브리핑] 산업부·고용부, 중대재해 근절 논의
- 포스코홀딩스,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 [2026 ESG 트렌드]⑤ESG 투자열기 지속...‘신뢰와 투명성’이 경쟁력
- [2026 ESG 트렌드]⑥AI, ESG의 동반자…지속가능경영 새 엔진으로
- [2026 ESG 트렌드]⑦ 기준과 표준 통합 추세…ISSB 기준 사용 확대
키워드
Tags #중대재해 #산업재해 #금융위원회 #ESG평가 #ESG투자 #ESG공시 #상장사 #ESG 평가기관 가이던스 #수시공시 #사고사망만인율 #산업안전보건정책 #작업중지권 #건설안전특별법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김연지 기자
kimyj@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