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현대차, 미 협력사의 아동고용 재발 방지 다짐

  • 기자명 이신형 기자
  • 입력 2023.02.09 21:23
  • 수정 2023.02.10 11:38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인난 속 외주사의 채용대행 과정서 발생
로이터, "미 노동부와 재발 방지 방안 협의"

현대자동차 미 앨라배마 공장. 사진=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 미 앨라배마 공장. 사진=현대차 제공

[ESG경제=이신형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에서 일어난 협력업체의 아동 노동 물의를 해결하기 위해  미 노동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8일 보도했다.

현대차는 성명을 통해 "미 노동부와 이 문제에 대해 수차례 협의했다"고 밝혔다. 현대차 미 법인의 마이클 스튜어트 대변인은 “당국과의 협의는 회사 공급망의 법규 준수가 초점”이라며 “불법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재발을 막기 위해 미 전역의 공급망에 대해 새로운 고용훈련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구직자의 신분을 철저히 검증하는 한편, 불법행위를 익명 제보하는 핫라인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구직 대행사를 통한 직원 채용도 억제하겠고 덧붙였다.

앨라배마의 상당수 공장은 구인난을 겪고 있어 생산라인 근무 저임금 노동자의 충원은 인력대행사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현대차 협력사의 아동노동 문제도 대행사를 통한 직원 채용으로 발생했다. 협력사 채용에서도 신원을 좀더 철저히 검증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앨라배마주의 29개 협력사를 방문해 제3의 기관이 실시한 감사보고서를 제출하는 문제 등을 협의했다. 현장 실사 결과 현대차에 직접 부품을 공급하는 1차 벤더에는 아동노동 문제가 없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로이터에 따르면 미 노동부는 앨라배마주와 다른 지역에 있는 현대차 협력사에서 아동노동 사례가 있었는지 조사를 벌인데 이어 기아자동차에 대해서도 조사를 벌이고 있다.

미 노동부는 현대차와의 협의 여부에 대해 직접적인 언급을 피했다. 다만 노동부 대변인 성명을 통해 “고융주들이 법에 따른 책임을 이해하고 준수할 수 있도록 고용주와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앨라배마주 하원의원도 우려 표명

이에 앞서 민주당 소속 테리 스웰 앨라배마주 하원의원은 로이터에 보낸 성명에서 “아동노동은 수치스러운 일로 (관계되는 곳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대차와 연방 규제당국, 앨라매자주 자동차업계 노동자들과 협력해 현대차의 재발 방지 조치가 충분한 수준에 도달하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로이터는 지난해 7월 앨라배마주의 현대차 소유 부품업체 스마트 앨라배마(SMART Alabama LLC)에서 아동노동자들이 일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는 이어 12월 주 전역의 한국인 소유 협력업체에서 아동노동이 목격됐고 앨라배마주와 연방정부 당국자들이 앨라배마의 현대차 및 기아차 10개 협력사를 상대로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앨라배마주 법과 미 연방법은 16세 미만 노동자의 공장 근무를 못하게 하고, 18세 미만 노동자는 자동차 공장 근무를 금한다. 현대차는 지난해 스마트 앨라배마와 또 다른 협력사 SL이 아동노동을 금지법을 위반한 사실을 알고 즉각 시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