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년 역사, 신뢰와 정직의 기업문화 실천.
존경받는 기업 18년 연속 1위

[ESG경제=전혜진 기자] 95년 역사의 유한양행은 한국형 ESG경영의 원조 기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제 치하였던 1926년 유일한 박사가 “가장 좋은 상품을 만들어 국가와 동포에게 도움을 주자”는 기치를 내걸고 설립했다.
창업 이래 지금까지 신뢰와 정직의 기업문화를 실천하고 있다. 우수한 의약품 생산과 국민보건 향상을 위해 매진하면서 사회공헌 활동에도 앞장섰다. 경영권을 가족이 세습하지 않고, 전문경영인 체제를 곧바로 도입했다. 국내 대표 제약사를 넘어 한국에서 가장 존경 받는 기업으로 자리잡았다.
기업이윤의 아름다운 순환
"기업은 개인의 부귀영화가 아닌 사회발전의 원동력이며, 사회 이익증진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 유한양행 창업주 유일한 박사의 말이다. 그는 이같은 신념에 따라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고 기업 활동이 사회적 가치를 위해 움직일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다름아닌 ESG경영의 표본을 닦은 셈이다.
창업 당시 식민지 민족의 서러움을 가슴에 안았던 유일한 박사는 “건강한 국민만이 잃었던 주권을 되찾을 수 있다”는 신념으로 제약업을 택했다. 그는 혁신적 기업가이자 사회사업가, 독립운동가였다. 그의 정신은 유한양행의 역사에 녹아 지금도 살아 움직이고 있다. 유한양행은 3대 기업이념인 우수한 의약품 생산, 성실한 납세, 기업이윤의 사회환원 등을 통해 ESG경영의 길을 걷고 있다.

한국형 투명 지배구조 구축
유한양행은 지배구조 또한 독특하다. 최대 주주는 유한재단(공익사업)과 유한학원(교육사업) 등 공익법인과 교육기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생전 유일한 박사는 "기업의 소유주는 사회이다. 단지 그 관리를 개인이 대행할 뿐이다"라고 말했다. 그의 소신에 따라 유한양행은 공채 출신의 전문경영인 체제의 전통을 만들었다.
유일한 창업주는 1969년 혈연관계가 없는 회사 임원에게 사장직을 과감하게 물려줬다. 그때부터 유한양행의 사장은 평사원으로 입사해 혹독한 경쟁을 뚫고 올라온 유한인들이 맡고 있다. 유한양행의 최고경영자(CEO) 승계 프로그램은 한국형 기업지배구조으 모범 사례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올해 유한양행은 이사회의 독립성을 강화하는 조치를 취했다. 그동안 경영진이 이사회 의장을 맡아왔지만 올해는 기타 비상무 이사가 이사회를 이끌도록 했다.

일찌감치 E, S, G 모두에 집중
유한양행은 지난 2009년 환경부로부터 녹색기업으로 인증을 받았고 환경 관련 데이터도 꾸준히 공개하고 있다. 또한 사업장의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환경오염물질 배출 농도를 관련 법 기준의 20% 이내로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 최근 3년 동안 환경 관련 사고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부패방지방침을 제정했다. 윤리경영과 투명경영을 실천하기 위함이다.
유한양행은 환경경영시스템인 ISO14001을 구축하고 있다. 지속적인 오염물질 감소, 청정생산체제 구축, 자원의 재활용 등 환경과의 조화를 꾸준히 추구하고 있다.
존경받는 기업 18년 연속 1위
유한양행은 2010년 업계 최초로 정년연장 및 임금피크제를 도입해, 노사문화대상을 수상했다. 2012년에는 보건복지부로부터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을 받았으며 윤리경영대상을 수상했다. 2014년에는 대한민국 최고기업대상 4년을 연속 수상했다. 2015년에는 한국의 경영대상 이미지 가치 최우수기업에 선정됐다.
유한양행은 한국능률협회가 선정하는 '2021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에서 18년 연속으로 산업부문 1위, All Star 4위에 올랐다. 최근 전경련과 지속가능발전소가 조사한 ESG 평가에서 환경부문과 책임경영 부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는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ESG 우수기업으로 꼽히기도 했다.
유한양행의 2020년 매출액은 1조 6198억원, 순이익은 1904억원 기록하는 등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좋은 실적과 ESG 성과를 반영해 주식 가격도 장기 상승 커브를 그리고 있다.

* ISO 14001 : 국제표준화기구(ISO) 기술위원회(TC 207)에서 제정한 환경경영체제에 관한 국제표준인 'ISO 14000 시리즈' 중 하나이다.
국제표준인 'ISO 14000 시리즈'에는 환경경영체제(ISO 14001), 환경감사(ISO 14010 Series), 환경라벨링(ISO 14020 Series), 환경성과평가(ISO 14030 Series), 전과정평가(ISO 14040)등의 환경경영 규격시리즈가 있는데, 이중 'ISO 14001'가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하나의 조직(기업 등)이 ISO 14001 인증을 받는다는 것은 그 조직이 ISO 14001 규격의 요건에 근거하여, 환경경영을 기업경영의 방침으로 삼고 구체적인 목표와 세부목표를 정한 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 절차 등을 규정하고 인적, 물적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조직적으로 관리하는 체제를 갖추고 지속적인 환경개선을 이루어 나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