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브라질 등 연구 결과…'무리하지 말아야' 통념과 달라
"장시간 앉아 있거나 눕기 피하라. 뭐든지 하면 도움 된다"

[ESG경제=김도산 기자] ‘걸살누죽(걸으면 살고 누으면 죽는다)’는 우스갯소리가 과학적으로도 진실임이 입증됐다. 특히 암에 걸렸거나 암에서 회복된 사람이 하루 30분을 걷거나 요가를 하면 신체의 피로도가 줄어 암세포 확산이나 암의 재발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최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연례회의에 제출된 3편의 연구 보고서가 육체 활동이 암환자들에게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재확인했다고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ASCO는 세계 최대의 암 관련 회의로 꼽힌다.
ASCO 연례회의에 제출된 첫 번째 보고서는 요가가 염증 유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미국 로체스터대 의학센터가 작성했다. 연구진은 평균연령 56세의 암 환자 500여 명을 미국 전역에서 선발한 다음, 암 환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각각 4주 동안 주 2회 각각 75분씩 요가를 하거나 강의를 듣고 계속해서 혈액검사를 받도록 했다. 그 결과 요가를 한 그룹이 강의를 들은 그룹과 비교해 염증을 가리키는 표시의 수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보고서에서 "우리 자료에서는 요가가 암 생존자의 염증을 상당히 줄인다는 점이 드러난다"며 "의사들이 암 환자들에 대한 요가 처방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를 주도한 카렌 머스티안 박사는 "20년 전만 해도 암 환자들은 무리하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지금은 대부분의 의사가 운동을 권하고 있다"고 말했다. "종양학자들도 같은 생각일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암 생존 연구 분야의 권위자인 멜리사 허드슨 박사도 "예전에는 '아프면 쉬어'였지만, 지금은 점점 더 많은 의사가 암 환자들에게도 '되도록 빨리"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는 의견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걸살누죽(걸으면 살고 누으면 죽는다)이 맞는 말
역시 로체스터대학 의학센터가 제출한 두 번째 보고서는 요가가 신체 피로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60세 이상의 암 환자 173명이 실험에 참여했다. 이들 환자도 두 그룹으로 나뉘어 한 달 동안 매주 2회 75분씩 요가를 하거나 건강 관련 강의를 듣도록 한 결과, 요가를 들은 쪽이 피로감을 덜 느끼고 삶에 대한 질을 유지하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세 번째 보고서는 활동적인 암 환자의 사망률이 그렇지 않은 환자의 사망률과 비교해 5분의 1 정도 낮다는 내용이었다. 브라질의 '인스티투토 데 메디시나 인테그랄'의 쥐레마 텔레스 드 올리비에라 리마 박사 주도로 6년 동안 진행된 이 연구에는 브라질 암 환자 2,600명이 참여했다.
연구진은 매주 5일 동안 하루에 최소 30분을 걷는 '활동형' 암 환자들과 별로 몸을 움직이지 않고 생활하는 '정주형' 암 환자들을 비교한 결과 180일 뒤 두 그룹의 생존율은 각각 90%와 74%였다.
리마 박사는 암 환자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장시간 앉아 있거나 누워 있는 것을 피하고 조금이라도 움직이는 것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허드렛일이나 홈쇼핑 등 움직이는 건 무엇이든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