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관찰대상국 등재 실패…시장 접근성 '개선 필요' 지적돼

[ESG경제=김강국 기자] 한국 증권시장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DM) 지수 편입이 불발됐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의 눈에 여전히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가 있다는 의미로 여겨진다.
MSCI는 22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2023년 연례 시장 분류 결과를 발표하면서 현재 신흥국(EM) 지수에 속하는 한국 지수 관련 변경 사항은 없다고 밝혔다.
MSCI는 다만 "해외 투자자의 한국 주식시장 접근성 개선을 위해 제안된 조치들을 환영하며 향후 제도 이행의 효과를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투자자들이 변화 효과를 평가할 충분한 시간을 가져야 하며, 제도 개선을 체감한 뒤에야 한국 증시의 신흥 시장에서 선진 시장으로의 재분류 가능성을 시장 참여자들과 협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MSCI의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려면 지수 편입 후보군인 관찰대상국(워치리스트)에 1년 이상 올라있어야 한다. 이번에 후보군에 들지 못한 한국 증시의 선진국 지수 편입 도전은 다음 기회인 내년 6월로 넘어갔다.
내년 6월 후보군에 들어가면 2025년 6월에 지수 편입이 정식 발표되고, 실제 편입은 2026년 6월께 이뤄진다.
MSCI가 이달 초 발표한 시장 접근성 평가에서 한국 증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18개 항목 중 6개 항목에서 '마이너스'(개선 필요) 평가를 받았다.
당시 MSCI는 평가 보고서에서 "영문 정보 공개는 개선됐으나 항상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또 "역외 외환시장이 없으며 역내 외환시장에 대한 제약도 지속하고 있다"며 "기획재정부의 외환시장 구조 개선 방안이 전면 시행되면 그 영향을 살펴보겠다"고 설명했다. 또 외국인 투자자 등록 제도, 기업들의 배당 정보 공시 등에 대해서도 관련 제도 개선이 완전히 시행되면 재평가하겠다고 덧붙였다.
한국 증시가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면 패시브(지수 추종) 자금이 유출될 수도 있으나, 선진시장에 걸맞은 제도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중장기적인 외국인 자금의 유입을 기대할 수 있어 증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돼 왔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그동안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제도 개선을 추진해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