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中, 폭염에 ‘전력난'…저장성 7천여업체 야간·휴일 가동으로

  • 기자명 김도산 기자
  • 입력 2023.07.14 11:22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쓰촨 수력발전 줄며 전력 공급받는 동부연안 제조업체들 영향
中 상반기 전력 소비 5% 증가…폭염 장기화하면 생산망 타격

쓰촨 바이허탄 수력발전소에서 저장·장쑤성으로 공급하는 전력망. 사진=연합뉴스(바이두 캡처)
쓰촨 바이허탄 수력발전소에서 저장·장쑤성으로 공급하는 전력망. 사진=연합뉴스(바이두 캡처)

[ESG경제=김도산 기자] 역대급 폭염으로 중국 '수력발전의 메카' 쓰촨성의 전력 생산이 감소하면서 쓰촨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동부 연안 제조업체들로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

쓰촨의 전력난이 동부 연안의 생산망에 타격을 줬던 작년 여름 상황이 재연될 수 있으며, 회복이 더딘 중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4일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저장성은 지난 3일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7,000여 업체에 전력 소비가 적은 평일 야간과 휴일에 생산라인을 가동하도록 통보했다. 이달 1일부터 10일까지 저장성 전체 전력 소비량은 213억㎾h(킬로와트시)로 작년 동기 대비 10.5% 증가했다.

지난 3일에는 전력 최고 부하(전력 피크)가 1억200만㎾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전력 피크가 1억㎾를 돌파한 것은 저장성 전력망의 여름철 기록으로는 가장 이른 것이며, 작년과 비교하면 8일 앞당겨진 것이다.

동부 연안의 제조업 허브인 저장성과 장쑤성은 자체 생산 전력이 부족해 서부 내륙의 쓰촨에서 전력을 공급받고 있다.

쓰촨성 진사강 하류 바이허탄 수력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 가운데 매년 300억㎾h가 길이 2,080㎞의 전력 공급망을 통해 저장성과 장쑤성에 공급된다.

이런 가운데 40도를 오르내리는 폭염이 본격화하면서 생산 전력의 80%를 수력발전에 의존하는 쓰촨의 전력 생산이 차질을 빚고 있다.

쓰촨성 수력 발전량은 지난 4월 205억4,000만㎾h로 작년 동월 대비 11.9% 감소했고, 5월에는 221억㎾h로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24.4% 줄어 감소 폭이 확대됐다.

작년에도 수개월 간 지속한 폭염과 가뭄으로 쓰촨 수력발전소 생산 전력이 예년 절반 수준으로 급감하면서 쓰촨의 생산시설 가동이 전면 중단됐고, 저장성 업체들도 일주일에 3∼5일씩 가동을 멈춘 바 있다.

이 여파로 이들 지역에서 생산하는 부품 조달이 중단돼 상하이의 자동차 업체들까지 연쇄적으로 생산 차질을 빚었다.

중국의 올해 폭염이 1961년 이래 최악이었던 작년 폭염보다 일찍 시작된 데다 범위도 넓어 전력난 심화와 경제 충격이 더 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국가에너지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력 소비량은 4조3,076억㎾h로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다.

중국 전력기업연합회 통계데이터센터 장더빈 부주임은 "극한의 고온이 계속되면 전력 공급 부족이 심화할 것"이라며 "중국의 전력 수급이 큰 도전에 직면할 수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