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피닉스 20일째 43도…중국 23년만에 고온일수 최다
온열질환 사상자 속출…각국 공중보건 위기·전력난 사태

[ESG경제=홍수인 기자] ‘뜨거워진 지구’로 인해 폭염이 전 세계를 뒤덮으면서 각국이 비상사태를 맞고 있다.
짬통더위가 생명까지 위협하면서 산업 현장 곳곳에서 근로자들의 비명이 들리고 있으며, 냉방기 가동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정전 사태를 겪는 곳도 늘고 있다.
폭염·화재와 싸우는 유럽…중동도 '덥다 더워'
1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남부 시칠리아섬의 일부 지역의 기온은 섭씨 47도까지 올라 2021년 8월 유럽 최고 기록인 48.8도에 근접했다. 에어컨 가동으로 인한 전력망 압력으로 전날 정전이 발생한 로마의 기온도 38도를 찍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시칠리아의 한 병원 간호사 누차 오를란도는 가디언에 "우리는 녹아내리고 있다"며 "오늘 내 차의 내부 온도가 52도까지 올랐는데, 말도 안 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폭염으로 인한 인명 피해도 속출하고 있다. 지난주 밀라노에서 44세의 도로공사 직원이 사망한 데 이어 이날 북부 도시의 한 빵집에서 60대 남성이 실신 후 숨졌는데 온열 질환이 원인으로 보인다.
자동차 제조업체 스텔란티스는 전날 나폴리 인근 공장의 근로자들이 너무 더워하자 조기 퇴근을 시킨 뒤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배터리 제조업체 마그네티 마렐리의 술모나 지역 공장 근로자들은 "질식할 것 같은 더위가 노동자들의 생명을 위험에 빠트리고 있다"고 성토했다.

그리스의 경우 아크로폴리스 및 기타 고대 유적지 직원들은 근무 조건에 항의하며 20일부터 하루 4시간씩 근무를 중단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그리스 곳곳에서는 밤새 수십 건의 화재가 새로 발생해 프랑스, 폴란드, 루마니아 등 인근 국가들이 지원에 나섰다.
스페인 연안 해역 기온은 이번 달 중순 연안 해역의 평균 기온은 24.6도로, 평균보다 2.2도 높다.
프랑스 남동부 프로방스-알프스-코트다쥐르 지역은 이달 1일 이래 단 3㎜의 비가 내렸는데, 이는 평년 한 달 평균 21㎜에 비해 적은 양이다. 가뭄 탓에 프랑스 96개 지역 중 83개 지역에선 물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중동도 더위와 씨름증이다. 이라크 남부 바스라 시장은 20일 낮 최고 기온이 50도 이상으로 예상되자 이날 하루 공무원들에게 휴가를 줬다. 이집트도 계속되는 폭염으로 전력망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자 17일부터 내주 중반까지 일시적으로 전력 부하를 줄이기로 했다.

美남부 8,500만명에 경보…에어컨없는 텍사스 교도소 9명 사망
미국 국립기상청에 따르면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 이르기까지 8,500만명이 폭염 경보에 시달리고 있다.
피닉스는 47.8도를 기록해 1989년에 세운 종전 기록인 46.1도를 넘어섰고, 텍사스주 샌안젤로도 수은주가 43.3도를 기록해 이전 41.7도 기록을 깼다. 피닉스의 경우 20일 연속 43도 이상의 기온을 기록하고 있어 당국이 시민들에게 야외 활동 자제를 촉구한 상태다.
텍사스에서는 에어컨이 없는 교도소에서 올여름 폭염으로 인해 최소 9명의 수감자가 심장마비를 겪었다.

중국, 23년 만에 연간 고온 최다 기록 경신…亞 곳곳 폭우 피해
20일 베이징시 기상국에 따르면 전날 베이징의 낮 최고 기온이 36도를 기록해 고온일수(최고기온이 35도 이상인 날)가 총 28일로 늘어 23년 만에 연간 고온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종전에 베이징의 연간 최다 고온일수는 2000년 기록했던 26일이었다.
대학생 추 이충은 "한낮엔 햇볕에 피부가 타들어 가는 것 같다"며 "베이징의 여름이 이렇게 더운 적은 없었다"고 말했다.
기상 당국은 베이징의 20일 낮 최고기온이 36도까지 오르는 등 당분간 35도를 웃도는 폭염이 계속될 것으로 예보했다.
아시아 지역은 폭염뿐 아니라 폭우에도 시달리고 있다.
산시성 북부의 문화유산인 진츠 사원과 톈룽산 석굴이 폭우로 인해 붕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북부에서는 지난달 1일 이후 홍수, 산사태, 폭우로 인해 100명 이상이 사망했고, 파키스탄에선 몬순 강우로 인한 벽 붕괴로 최소 11명의 건설 노동자가 사망했다.
관련기사
- 남유럽·美남부 ‘40도 이상 폭염’…'펄펄 끓는 열기'에 관광도 위험
- ‘한번도 경험 못한 지구’…폭염에 ‘헉헉’ 폭우에 ‘꽈르릉’
- 中, 폭염에 ‘전력난'…저장성 7천여업체 야간·휴일 가동으로
- 천년에 한 번 올 ‘폭포 비’에 바닷물 온도 35도…美, 극단기후 강타
- 올해는 ‘역사상 가장 더운 해’…"날씨는 날마다 새 기록"
- 파리, 유럽 도시 가운데 폭염 관련 사망 가능성 가장 높아
- "기온 올라가면 시력 나빠진다…자외선 노출증가 등 때문”
- 지금도 푹푹 찌는데…NASA "내년, 엘니뇨로 더 뜨겁다"
- G20, 화석연료 감축 합의 실패...COP28에서 재논의
- ‘산불·산불 또 산불’…그리스·이탈리아, 인명피해 속출
- 미국은 지금 ‘가마솥’…인구 절반에 폭염경보·주의보
- ‘Global Boiling(지구가 끓는) 시대’…선인장도 말라 죽는다
- 북유럽은 폭우, 남유럽은 폭염·산불…“정신 못 차리겠네”
- ‘역사상 가장 뜨거운 해는?’…"올해 2023년이 무려 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