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구 온도 산업화 전보다 4도 오르면 "유럽 스키장 98% 눈 부족 사태"

  • 기자명 ESG경제
  • 입력 2023.08.29 11:40
  • 수정 2023.08.29 15:47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상승 폭 인류 목표인 1.5도로 제한하면
스키장 눈 부족 32%로 막아낼 수 있어
탄소 감축 소홀하면 대다수 스키장 위기

눈이 부족해 풀밭을 훤히 드러낸 스키장. 사진=AP연합뉴스
눈이 부족해 풀밭을 훤히 드러낸 스키장. 사진=AP연합뉴스

지구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섭씨 4도 오르면 유럽 전역 스키장의 98%가 눈 부족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더타임스 등에 따르면 프랑스 그르노블 알프스 대학 등에 소속된 연구진은 이날 과학 저널 '네이처 기후 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기후변화가 유럽 28개국에 있는 스키장 2,234곳에 어떤 영향을 줄지 조사하기 위해 지구 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2도와 4도 오를 때 고도 100미터 지역 적설량이 각각 어떻게 변할지 분석했다. 그 결과 기온이 2도 오르면 전체 스키장 53%가, 4도 오르면 98%가 눈 공급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관측됐다. 눈 부족으로 평가되는 기준은 1961∼1990년 사이 평균 강설량을 기준으로 설정했다.

인공설로 스키장 절반을 덮을 경우 눈 부족 문제에 직면하는 리조트 비율은 각각 27%, 71%로 줄었다. 문제는 인공 눈을 만드는 과정에서 전기 수요 급증 등에 따른 탄소발자국(제품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지표)이 함께 증가해 환경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 남유럽의 스키장은 높은 기온 탓에 인공 눈 제조 자체가 어렵다는 점도 문제로 제기됐다.

연구팀은 지구 온도 상승 폭이 1.5도 이하로 억제될 경우도 조사했다. 1.5도는 국제사회가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을 통해 합의한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기온 상승의 제한선이다.

그 결과 전체 스키장 중 32%만이 심각한 눈 부족 문제를 겪을 것으로 관측됐다고 더타임스는 전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새뮤얼 모린 박사는 "(탄소) 배출량을 더 빠르게 줄이면 스키 관광에 필요한 눈 공급과 관련한 위험이 제한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ESG경제=연합뉴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