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이후 최다, 온환자도 2818명이나 발생

[ESG경제=홍수인 기자] 후덥지근한 날씨로 힘들었던 올여름에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가 32명 발생해 작년(9명)보다 4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누적 온열질환자는 2,818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1,562명)의 1.8배로 늘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온열질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날은 지난 8월 3일로, 전국에서 133명이 나왔다. 당시 가장 기온이 높았던 곳은 강원 강릉시로 낮 최고기온이 38.4도까지 치솟았으며 서울 낮 최고기온도 33.8도에 이르렀다.
남성 환자는 2,192명으로, 여성(626명)의 3.5배였다. 연령대별로는 50대(601명)가 전체의 21.3%로 가장 많았고, 65세 이상 환자는 830명으로 전체의 29.5%였다.
직업별로는 전체 환자 21.0%(591명)가 단순 노무종사자였고,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도 8.8%를 차지해 주로 야외에서 일하는 직종의 피해가 컸다. 특히 온열질환자의 32.4%(913명)는 실외 작업장에서 발생했는데, 논밭(14.0%)과 길가(10.1%) 등 실외에서 전체 환자의 79.6%가 발생했다.
올해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32명. 질병청이 온열질환 응급감시체계 가동을 시작한 2011년 이래 '역대급 폭염'을 기록한 2018년(48명) 다음으로 추정 사망자가 가장 많이 나왔다.
올해 하루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인 폭염 일은 19일로 기상청이 관측망을 전국적으로 대폭 확충한 1973년 이래 2018년(35일), 1994년(29일), 2016년(24일) 다음으로 4번째로 많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