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ESG 투자 앞서가던 일본, 업계 평가는 ‘글쎄’

  • 기자명 김민정 기자
  • 입력 2021.05.11 16:47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SG 표준에 입각한 투자는 더뎌
PRI 책임자, "정부가 공적 연금 ESG에 투자해야"

PRI 서명기관 수 추이와 보유자산 잔고 (단위: 기관 수, USD 조) 자료: 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홈페이지
PRI 서명기관 수 추이와 보유자산 잔고 (단위: 기관 수, USD 조) 자료: 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홈페이지

 

[ESG경제= 김민정 기자] 유럽에서 시작된 ESG 투자 바람이 일본에서도 거세다. 일본에서는 기관 투자자를 비롯해 대형 생보사들까지 장기적인 관점으로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기업지배구조(Governance)에 대한 인식과 노력을 평가해 기업 가치를 평가하고 투자하는 ESG 투자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세계적으로 인정되는 주요 ESG 표준에 따른 투자는 더디다는 주장이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10일(현지시간) UN이 지원하는 책임투자원칙주도기구 PRI(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의 일본 책임자인 미치요 모리사와의 말을 인용해 일본 정부가 지속가능한 투자로의 변화를 이뤄내기 위해서는 공적 연금을 ESG에 투자해야 한다고 보도했다.

PRI는 ESG 투자와 관련해, 세계적으로 인정되는 주요 표준이다. ESG 투자에서 PRI 원칙을 활용하는 것은 녹색 금융을 추진하고, 탄소 배출 감소라는 글로벌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 받는다.

일본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PRI에 동참하는 기관수와 서명기관의 운용 자산액 등이 급증했다. 2020년 이후 지구온난화에 대책에 관한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이 2015년에 채택된 이후부터다.

일본 최대 연금 기금인 ‘연금적립금 관리운용 독립행정법인(GPIF)’이 2015년 유엔의 PRI에 서명하면서 ESG 투자 시장은 급성장했다. 실제 2년마다 글로벌 지속가능투자 규모를 발표하는 GSIA(Global Sustainable Investment Alliance)에 따르면 2017년 이후부터 일본의 투자규모가 크게 증가했다. 2018년에는 같은 시기 유럽이나 미국의 성장과 비교했을 때도 성장세가 더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아직 ESG 투자를 확대하기 시작한 지 6년 정도밖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유럽이나 미국 등지에 비해 ESG 투자의 목적의식이나 운용방침, 체제 등에서 정비되지 않은 부분이 많다는 지적이다.

PRI의 일본 책임자인 모리사와는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일본은 ESG에 공적 연금을 투입하는데 거의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다”며, “일본 내 투자사들은 대부분 연금 기금을 따를 가능성이 높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개입이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일본의 ESG 채권 시장도 꾸준한 증가 추세에 있다. 일본 내 발권자에 의한 ESG 채권 발행은 2018년 이후 그린본드 발행이 급증하면서, 2019년에 1조 엔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