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진보센터, 탄소 배출량이 많은 산업 여신 제공 금융기관 충당금 제고 필요.
환경 관련 리스크 고려해 대형 금융기관 스트레스 테스트 강화

[ESG경제=이신형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융기관들이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손실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자본 확충에 나서도록 요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로이터통신은 20일(현지시간) 미국의 대표적인 진보진영 싱크탱크 미국진보센터(Center for American Progress)의 보고서를 입수해 이같이 보도했다. 진보성향의 바이든 행정부가 기후변화 대응에 전면적으로 나선 가운데 이런 주장이 금융감독당국의 기후변화대응 정책이 어디까지 영향을 미쳐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촉발할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는 보도했다.
미국진보센터는 전 세계가 기후변화 대응에 나서면서 금융기관이 투자하거나 자금을 지원한 전통산업 기업의 가치가 하락하면 해당 금융기관에 새로운 리스크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연준은 신속하게 금융기관들이 새로운 완충장치를 마련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이 연구소는 지적했다.
미국진보센터는 연준이 탄소 배출량이 많은 산업에 돈을 빌려준 금융기관의 자본 확충을 지시하고 대형 금융기관에 대해 여신을 제공한 산업의 탄소 배출량에 맞춰 추가적인 충당금을 쌓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 관련 리스크를 고려해 대형 금융기관의 스트레스 테스트도 강화해야 한다고 이 연구소는 주장했다.
연준은 월가의 반발 가능성 때문에 민주당 정부보다는 기후변화 대응에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다.
이런 연준이 최근 기후변화가 경제와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할 전문가를 채용하는 등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레이얼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는 3월 “기후변화가 연준이 책임을 수행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사실이 점차 명백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연준은 아직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새로운 정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미국진보센터는 연준이 이럴 여유가 없다고 비판했다. 연구소는 “금융감독당국이 향후 10년간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연구만 하면서 이런 리스크로부터 금융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도 있다”며 “금융시스템의 잠재적인 피해가 매우 커 금융당국이 기다릴 틈이 없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