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무탄소(CF) 연합' 창립총회…회장에 이회성 前IPCC 의장

  • 기자명 홍수인 기자
  • 입력 2023.10.13 00:13
  • 수정 2023.10.13 07:24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尹대통령 제안 후 설립 급물살…RE100 대안으로 '원전·청정수소'도 포함
재생에너지 부족과 원전 기술 우위 배경, "국제적 참여와 연대 확보 관건"

'무탄소(CF) 연합' 발족을 위해 12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모인 20개 기업·기관의 관계자들이 창립총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무탄소(CF) 연합' 발족을 위해 12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모인 20개 기업·기관의 관계자들이 창립총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ESG경제=홍수인 기자]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의 현실적 대안으로 우리 정부가 꼽고 있는 'CF100(무탄소에너지 100% 사용)’ 확산을 위한 '무탄소(CF) 연합'이 본격적인 설립 절차에 들어갔다. 무탄소(CF)는 전기 생산 과정에서 직접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모든 에너지원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오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무탄소(CF) 연합' 창립총회를 열고 비영리 사단법인 설립을 위한 정관 등 안건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CF 연합'은 지난달 윤석열 대통령이 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결성을 제안했으며, 윤 대통령의 제안 이후 국내에서 설립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

RE100 운동이 태양광, 풍력, 수력, 지열 등 재생 에너지만 인정한다면 CF100 운동은 여기에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원전과 청정수소 등까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어서 국내 기업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 생산이 쉽지않은 자연조건을 갖고 있는 상황이지만, 원전 분야에서는 세계적 기술력을 갖고 있는 게 'CF연합' 창립의 주된 이유다. 하지만 국제적 연대와 참여를 얼마나 끌어낼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국내에서는 지난 5월 산업부와 대한상공회의소가 공동으로 'CFE(무탄소에너지) 포럼'을 구성하고 CFE 활용 확대 방안과 확산 방안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논의기구 성격인 'CFE 포럼'이 정식 법인으로 전환되면 안정적인 활동 기반이 마련되면서 국제적 확산을 위한 실행 작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12일 열린 창립총회에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포스코, LG화학, 한화솔루션, 한국전력, 한국에너지공단 등 14개 기업·기관이 이사회 멤버로 참여했고, 한전원자력연료,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등 6곳이 일반 회원으로 들어왔다.

'CF 연합' 초대 회장으로는 이회성 전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의장이 선출됐다. 이 전 의장은 권위 있는 국제기구인 IPCC에서 7년간 부의장, 8년간 의장을 역임한 뒤 지난 7월 임기를 마친 기후변화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 꼽힌다.

이 회장은 취임사에서 "CF 연합은 한국이 21세기 무탄소 경제 시대의 선두 주자가 되도록 이바지할 것"이라며 "다른 나라가 벤치마킹하는 한국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CF 연합은 다음 달 말까지 법인 설립 관련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공식 출범식을 가질 계획이다. 출범 후에는 국내·외 기업 및 국제기구와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제도 개선 과제 발굴 및 표준화 등 본격적인 활동에 나서게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