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쓰레기 배출의 흑역사, ESG로 끊자

  • 기자명 이태호 기자
  • 입력 2021.05.20 17:14
  • 수정 2021.05.21 10:15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MZ세대에 일자리도 못주면서 쓰레기만 넘겨줘야 되겠나

[ESG경제=이태호 전문기자] 인류 역사에서 문명과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항상 문제가 됐던 것은 쓰레기의 처리였다. 심지어 선사시대에도 쓰레기는 문제였다. 국내 김해 패총도 원시인들이 먹고 버린 조개 껍질 쓰레기 더미였다.

선사시대 사람들은 동굴 바닥에 오물을 그냥 버리다가 그게 감당 못할 만큼 쌓이면 다른 동굴로 이주해 갔다. 중세 프랑스에도 국왕 루이 11세가 대학생이 쓰레기로 버린 요강에 머리를 맞았다는 기록이 있다.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는 것이 중세에도 골치꺼리였던 것이다. 그 무서운 흑사병도 쓰레기 때문에 급속히 확산됐다는 게 정설이다.

현재 한국 사회의 골칫거리 중 하나도 쓰레기 처리다. 낭비적 소비문화와 코로나로 인한 택배문화 확산으로 쓰레기의 처리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됐다. 최근 동아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2025년이 되면 전국의 공공 쓰레기 매립지 65곳이 포화상태가 된다.

그 중 가장 심각한 곳은 수도권이다. 2025년 8월 지금의 수도권 매립지는 포화상태가 되는데 대체할 곳이 없다. 어떤 지자체도 대체할 매립지를 제공하겠다는 곳은 없다. 지역사회의 정서를 감안할 때 매립지나 소각장을 제공하는 것은 정치적 자살행위로 통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쓰레기의 배출량은 갈수록 크게 늘어나고 있다. 국민 한 명당 버리는 쓰레기의 양은 2010년 0.96kg에서 2019년 1.09kg이 되었다. 사실 우리가 보지 못하는 곳 바다 속이나 산속 에 버려진 쓰레기 까지 고려하면 지구는 더 이상 버틸 수 없는 상황에 도달했다고 봐야 한다.

자본주의 소비문화는 끝모르게 확산되고 있다. 소비를 증가시켜 경제를 호황으로 유지해야 하는 자본주의의 미덕으로 인식돼 왔다.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하기 위한 과포장과 낭비적인 식생활, 그리고 소비자를 충동하기 위한 선정적 광고 등이 사람들의 소비 욕망을 자극한다. 그 종결지는 바로 쓰레기 처리장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를 지적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하자고 주장하지만 어떤 정권도 소비를 줄이자고 하지는 못한다. 경제를 침체시키는 것은 바로 정권을 내려놓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지난 20년간 한국 대선의 슬로건은 항상 경제 살리기였다.

정치로는 이 문제가 해결될 수 없으니 ESG 운동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물론 ESG 평가지표들이 이런 부분을 반영하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너무 멀다. 매출액의 일정 부분을 환경보호에 쓰고, 자사가 배출한 제품의 폐기물을 끝까지 수거하려 최선을 다하는 파타고니아 같은 기업이 많이 나와야 한다. 그런 기업들을 응원하는 적극적인 ESG 평가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불필요한 광고를 많이 하는 기업, 과소비를 조장하는 기업, 쓰레기를 많이 배출하는 기업, 과포장을 하는 기업 등을 찾아서 이들이 ESG 평가에서 불이익을 받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파타고니아 처럼 자사가 만든 폐기물을 회수하여 다시 사용하는 기업, 폐기물이 적게 나오게 포장하는 기업 등을 ESG 평가에서 유리하게 평가되도록 해야한다.

쓰레기를 매립하고 소각할 때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양은 한국 온실가스 발생 총량의 2.3%다. 제품을 만들고 유통하는 기업들이 자정노력을 통하여 자기들이 배출한 쓰레기가 거둬들이도록 하는 게 쓰레기 퇴치의 첩경이다.

소비자들도 달라져야 한다. 쓰고 배출하면 누군가 치워준다는 생각을 버리고 쓰레기에 대한 책임 의식을 가져보자. 환경을 고려하고 자원을 절약하는 소비 행동에 나서보자. 환경 시민단체들도 전시성 행사나 기업 발목잡기식 환경운동이 아니라 실효성 있는 생활형 환경운동을 펼쳐주길 바란다.

현재 한국의 MZ세대 젊은이들은 절망하고 있다. 복지지출 확대에 따른 조세부담, 국민연금 고갈, 국가채무 문제, 주거 및 일자리 문제 등이 젊은이들을 좌절하게 만들고 있다. 이들에게 쓰레기까지 떠넘기는 것은 너무 이기적이다. 그런 사회는 절대 지속가능하지 않다.

                                        이태호 ESG경제 전문기자
                                        이태호 ESG경제 전문기자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