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연령 구조 균형 모색...국산 목재 제품 수요도 촉진해야

[ESG경제=김민정 기자] 정부가 지난해 말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함에 따라 산림청도 탄소중립을 이루기 위해 산림분야의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특히 산림분야에서는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것보다도, 건강한 산림을 통한 탄소 흡수 방안이 강조됐다.
국내 산림 온실가스 흡수량 감소세
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17년 기준 세계 7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2030년까지 2017년 기준 국가 온실가스 총 배출량 7억900만 톤CO2eq 대비 24.4% 가량을 감축시키겠다는 내용의 NDC 갱신안을 UN에 제출했다. 이 갱신안에는 국내 산림흡수원을 활용해 2200만 톤CO2eq 가량을 상쇄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문제는 국내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이 최근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산림과학원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국내 산림면적 중 4영급(31~40년생) 이상 산림면적 비율은 약 70%에 달하며, 6영급(51~60년생) 이상 장령목도 10%에 이른다. 이대로라면 2050년에는 6영급 이상 비율이 70%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 산림의 고령화가 지목됐다. 산림이 고령화될수록 임목생장량이 줄어들고, 이것이 곧 이산화탄소의 흡수량 감소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이대로라면 2018년 기준 약 4600만 톤에 달하는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은, 꾸준히 감소해 2050년 1400만 톤CO2eq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치도 나왔다.
논란의 ‘30억그루 나무심기’
산림청은 산림의 탄소흡수 능력 강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노령림에 편중된 경제림 중 탄소흡수를 최우선 목표로 하는 산림을 ‘탄소순환림’으로 선정·구획하고 최적 수확모델을 개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산불위험지와 탄소순환림은 탄소흡수량이 최대가 되는 시점으로 벌기령을 완화해 적용하는 방안과 조림 시 탄소흡수능력과 환경적응력이 우수한 수종의 도입과 품종 개발도 제안했다.
이것이 구체화된 것이 바로 ‘30억그루 나무심기’다. 30년생 이상 나무가 전체 산림 면적의 72%를 차지하는 불균형한 산림 영급(齡級‧나무의 나이) 구조를 개선해 산림의 탄소 흡수 기능을 증진한다는 내용이다.
산림의 영급구조 편중이 심화되고 있지만, 이미 국토의 60% 이상이 산림인 우리나라에서는 신규 조림지를 개발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나온 해법이다. 그럼에도 벌채는 곧 산림파괴라는 부정적인 인식도 팽배해 있어 탄소흡수원 기능을 유지하고 사회의 탄소저장 능력을 늘리는 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오래된 숲의 탄소 저감 기능이 둔화한다는 과학적인 증거가 없다며, 숲은 800년이 지나도 탄소 흡수원으로 기능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를 소개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국립산림과학원은 탄소흡수량과 탄소저장량은 제대로 구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산림의 탄소흡수량은 80년 이후 감소하며, 실제 우리나라 역시 탄소저장량은 증가했어도 순흡수량은 2008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이를 근거로 2014년 과학저널 ‘네이처’에서 언급된 “일정 면적에 나무들이 모여 있는 숲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체수가 줄어들어 숲 전체 흡수량이 감소한다”는 내용을 소개했다. 또 나무는 나이가 들수록 생장률이 떨어져 이산화탄소 흡수 기능도 줄어든다는 학계의 입장도 전했다.
장기적으로 산림 영급구조 개선은 필요
산림분야 탄소중립을 이루려면 장기적으로 산림의 영급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산림청의 입장이다. 산림의 탄소흡수능력을 제고하고 신규 산림탄소흡수원을 확충하는 것 등은, 산림분야 탄소중립을 이루기 위해 장기적으로 진행돼야 하는 일이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 산림과학원은 1990년부터 2019년까지 기록된 경영이력을 바탕으로 산정한 국내 산림경영률은 약 53%이며, NDC 산림흡수원 감축목표인 2200만 톤CO2eq 달성을 위해서 산림경영률을 2030년까지 90% 이상으로 높이는 정책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산림의 탄소흡수능력을 제고하려면 수종별 벌기령을 넘어선 나무를 적절히 베어내고, 어린 나무를 심거나, 탄소흡수능력이 뛰어난 새로운 수종을 심어 산림의 구조를 새롭게 변화 시켜야 한다. 또 긴 수명을 가진 국산 목재를 제품화하는 방향을 통해 산림을 자원으로써 활용하면서도 탄소흡수원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임업계에서는 국산 목재 이용을 늘리기 위해 공공건축물 목재 이용 촉진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도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내고 있다. 목재 이용이 곧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국민인식을 확산하는 등 목재 소비 캠페인을 펼치는 일 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물론 벌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산림청에 따르면, 2019년 벌채 인식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30%가 부정적이라고 응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