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ESG기업브리핑] SK증권, 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 'ISO 14001' 인증 획득 외

  • 기자명 김강국 기자
  • 입력 2024.05.31 17:42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SK증권, 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 'ISO 14001' 인증 획득

SK증권이 국제표준화기구(ISO) 인증기관인 DNV 비즈니스 어슈어런스로부터 'ISO 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했다고 30일 밝혔다. ISO 14001은 기업의 환경경영 전략부터 체계 및 운영 전반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인증하는 제도이다. SK증권은 2026년까지 환경경영시스템을 고도화하고, 2027년 갱신 심사 시 주요 관계사들까지 인증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카카오페이 ESG 보고서 발간…증권·보험도 연결공시

카카오페이가 ESG 비전 '이로운 흐름, 유연한 금융'을 향한 여정을 담은 2023년 ESG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1일 밝혔다.이번 보고서는 카카오페이의 두 번째 ESG 보고서로, 카카오페이증권, 카카오페이손해보험, KP보험서비스 등 3개 종속회사의 환경·사회 데이터를 연결 공시했다. 

카카오페이는 2023년 4대 ESG 중대 이슈로 ▲개인정보보호 ▲상품 및 서비스 혁신 ▲통합 리스크 관리 ▲친환경 상품 및 서비스를 선정하고 보고서에서 관련 대응 활동과 성과를 공개했다. 카카오페이는 환경영역에서 2040년까지 전력 사용량을 재생에너지로 100% 전환하는 RE100 로드맵을 수립했다.

사회 영역에서는 디자이너, 개발자 등이 접근성 디자인 가이드에 부합하도록 사용자 경험(UX)에 적용하는 'FIT UX'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순차적으로 서비스 전반에 적용할 예정이다. 이번 보고서에도 저시력 시각 장애인, 고령자 등을 고려한 접근성 디자인을 적용했다. 디지털 금융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지원 기금 30억원을 조성하고 소상공인 판로 지원 '오래오래 함께가게', 디지털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지역사회 IT 교육 지원 등 다양한 상생활동도 진행하고 있다. 이사회 산하 ESG위원회 신설, ERM(Enterprise Risk Management)위원회 신설, 준법지원시스템을 통한 전사 전자 금융거래 안전성 점검 실시 등 리스크 통합 관리도 강화했다.

금감원, 신한금융지주에 CEO 경영승계절차 개선 요구

31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신한금융지주에 대한 정기검사 결과 이런 내용을 포함해 경영유의사항 5건, 개선사항 9건을 통보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신한금융지주는 지주회사 및 자회사 CEO 후보군 선정 시 내부 후보군에 대해서는 연령, 경력 요건, 특정 직급이상 등 선정기준을 정하고 있는 데 반해 외부 후보군에 대해서는 선정기준이 없었다. 금감원은 "후보군이 자의적으로 결정될 우려가 있다"며 "지주회사 및 자회사 CEO 후보 추천 시 단계별 심의, 압축 방식으로 진행하는 절차도 관련 내규에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감원은 사외이사 평가제도에 대해서도 개선하라고 요구했다. 사외이사 연임(재임)을 위해서는 사외이사 평가 결과 업무 수행 능력이 우수하다는 점이 입증돼야 한다. 검사 결과 신한금융지주는 사외이사의 업무 수행 능력에 대한 객관적 평가지표가 없었고, 검사대상 기간 중 모든 사외이사에 대해 '우수' 등급 이상으로 평가했다. 금감원은 "사외이사 평가 시 객관적 지표를 포함하고, 자기평가 비중을 조정해 관대한 평가 경향을 낮출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이밖에 경영진 성과보수 환수체계 개선과 관련해 성과급 환수 사유별 환수 비율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ESG전략위원회의 사회공헌 관련 심의를 강화하라고 지적했다.위기상황에 대비해 최저 목표 자본비율 및 중장기 목표 자본비율을 보수적으로 설정하고 손실흡수 능력을 제고하는 한편 자회사인 제주은행과 관련해서는 중장기 운영전략 수립에 대해 지원과 관리를 강화하라는 안도 지적사항에 포함됐다.

이런 지적에 대해 신한금융 측은 "종합감사 이후 그룹과 자회사 경영진 선임 프로세스 개선 차원에서 외부 후보군을 올해부터 상시 관리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을 진행했고, 이사회 결의 등 현재 일부 절차만 남아있다"고 설명했다. 사외이사 평가 체계와 관련해서도 "올해 초 주주총회 안건 설명서에도 밝힌 것처럼 사외이사 자체 평가를 기존 30%에서 0%로 줄이고 성과보수 환수 규정도 2023년 11월 제정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