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의 '개인화 지식 그래프' 핵심기술 확보
모바일 제품군 시작으로 TV 가전 등 온디바이스 AI 필요기기에 확대 적용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삼성전자가 세계 최고 수준의 '지식 그래프' 기술을 보유한 영국 스타트업을 인수해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과 결합해 차별화된 개인화 AI 경험을 제공하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16일(현지시간) '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 인수 계약을 맺었다고 18일 밝혔다. 인수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는 2017년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3인이 공동 창업한 스타트업으로, 데이터를 사람의 지식 기억 및 회상 방식과 유사하게 저장, 처리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지식 그래프'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지식 그래프는 관련있는 정보를 서로 연결된 그래프 형태로 표현해주는 기술이다. 데이터를 통합하고 연결해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빠른 정보검색과 추론을 지원해 보다 정교하고 개인화된 인공지능(AI)을 구현하는 핵심기술 중 하나다. 실생활에 사용되는 기기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지식그래프로 변환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복잡한 연산이 수반되기때문에 난도가 높은 기술이기도 하다.
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는 데이터 처리 최적화와 고도의 추론이 가능한 지식 그래프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했다. 현재 유럽과 북미 지역의 금융, 제조,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분야 회사들과 협력 중이다.
피터 크로커 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 최고경영자(CEO)는 "삼성전자의 사용자 경험과 데이터, 당사의 지식 그래프 기술과 역량을 결합하여 앞으로 더욱 진보된 개인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2018년부터 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와 여러 프로젝트를 협업하며 다각도로 기술력을 검증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더욱 진화된 '개인화 지식 그래프' 핵심 기술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삼성전자 측은 "개인화 지식 그래프 기술은 서비스와 앱별로 분산돼 있던 정보와 맥락을 연결해 마치 나만을 위한 기기를 사용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사용하면 할수록 나를 더욱 잘 이해하는 기기로 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은 삼성전자가 갤럭시 S24부터 강조한 온디바이스 AI와 결합해 민감한 개인 정보가 기기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도 초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이 기술을 모바일 제품군을 시작으로 TV와 가전 등 온디바이스 AI가 필요한 기기에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전경훈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사장)은 "이번 인수는 삼성전자가 데이터 지식화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한층 더 높이는 모멘텀이 될 것"이라며 "삼성전자는 전 제품에 걸쳐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개인화 AI 경험을 제공하고 다양한 AI 기술 혁신을 지속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삼성전자 지속가능성 흔들리나...FT "인재 유출 위험” 지적
- 삼성전자, “장애인 고객 맞춤형 서비스 지속 강화”
- 삼성전자, 헨켈과 손잡고 '에너지 절감' 전용 세제 코스 선보인다
- 삼성전자와 손잡은 테슬라...태양광 업계 숨은 고수?
- AI 개인정보 유출 우려… 삼성ㆍLG 기업 ‘책임’ 강조
- 삼성전자, 브랜드가치 4년 연속 세계 5위…현대차는 32위
- 삼성전자·LG전자, 'CES 2024' 혁신상 대거 휩쓸었다
- 삼성전자,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삼성 가우스' 첫 공개
- 삼성전자, '갤럭시 Z플립6 올림픽 에디션' 참가선수 전원에 전달
- 삼성전자, 드디어 엔비디아 뚫나..."다음달 4세대 HBM 공급”
- 삼성전자 스마트싱스, 정보보호 관리체계 'ISO 27001' 인증 획득
- 삼성전자, HBM3E 8단 3분기 양산 본격화…엔비디아·AMD 공급할듯
- "삼성전자 5세대 HBM 엔비디아 '퀄테스트' 통과…4분기 납품 전망"
- 삼성전자, 최고 성능·최대용량 PC용 SSD PM9E1 양산…AI PC 최적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