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 탄소중립 도시 조성 본격 추진…'50년까지 151t 감축

폐기물공정시험기준 명확성 높여... 5일부터 시행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이 폐기물의 성질과 오염물질의 측정, 분석 기준이 되는 ‘폐기물공정시험기준’을 개정했다고 밝혔다. 내용의 명확성을 높이고 중복 용어를 정리했다.
구체적으로 ‘지정폐기물의 함유된 유해물질의 기준’ 항목에서 크롬을 삭제하고 석면을 추가해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과 차이가 있었던 항목을 개정했다.
‘시료의 채취’ 항목에서는 구획법, 교호삽법, 원추 4분법에 대한 그림과 설명이 명확하도록 수정했고, ‘시약 및 용액’에서는 표준시약 사용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고 과망간산칼륨 등 중복 용어를 정리했다.
개정 기준은 5일부터 국립환경과학원 홈페이지(nier.go.kr) 및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law.go.kr)에서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춘천시 탄소중립 도시 조성 본격 추진…'50년까지 151t 감축
강원 춘천시가 '탄소중립 도시' 조성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2일 밝혔다.
시는 2030년까지 60톤, 2040년까지 105톤, 2050년까지 151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것이 목표다.
앞서 지난해 춘천시는 탄소중립 선도도시 예비 후보지로 선정된 데 이어 지난달 30일 관련 사업을 추진하는 제안서를 환경부에 제출했다.
선도도시는 예비후보지 39개 지자체 가운데 최종 2곳의 지자체를 선정한다. 공모 사업에 선정되면 내년에 세부시행계획 수립 후 2030년까지 탄소중립 선도도시를 본격 조성하게 된다.
주요 사업은 스마트 그린산단 전환, 통합바이오가스화 설치, 순환형 매립지 정비, 수열에너지융복합 클러스터, 친환경 대중교통 확대, 탄소중립을 위한 참여 확대 등 27개로, 총 3558억원이 투입된다.
앞서 춘천시는 강원대 산학협력단과 업무협약을 통해 탄소중립 지원센터를 지난 5월부터 개소해 운영하고 있다. 탄소중립지원센터는 춘천시의 탄소중립 이행정책을 지원하는 조직이다.
또 국가 및 강원도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과 연계해 지역 특성을 반영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기후변화 대응의 이행관리 및 환류체계 확립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