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올 2분기 전산업 노동생산성 3.2%↑...제조 5.6%·서비스업 3.2% 증가

  • 기자명 김대우 기자
  • 입력 2024.09.25 15:07
  • 수정 2024.09.25 15:08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조업, 고용증가율 둔화 속 경기회복·주력 산업 수출호조 영향
서비스업, 부가가치·고용증가율 둔화에도 근로시간 감소에 증가

2024년 2분기 노동생산성 요인별 증가율.  자료=한국생산성본부(KPC)
2024년 2분기 노동생산성 요인별 증가율. 자료=한국생산성본부(KPC)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올해 2분기 전산업 노동생산성이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은 고용 증가율이 둔화된 반면 제조업 경기 회복과 주력 산업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노동생산성이 5.6% 늘었다.

서비스업의 경우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가계소비 위축으로 부가가치와 고용 증가율은 둔화했지만 근로시간이 감소하면서 노동생산성이 3.2% 증가했다.

한국생산성본부(KPC)는 25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년 2분기 노동생산성 동향(2020=100)을 발표했다.

전산업 노동생산성지수(부가가치 기준)는 전년동기대비 3.2% 증가한 110.8로 나타났다. 작년 2분기에 비해 민간소비가 둔화되고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감소했지만 정부소비와 수출 증가에 힘입어 부가가치는 2.4% 늘었다. 근로자수가 증가했지만 근로시간이 이보다 더 크게 감소하면서 2023년 2분기에 비해 노동투입은 0.8% 감소했다.

제조업 노동생산성지수는 전년동기대비 5.6% 증가한 116.2로 나타났다. 중동 정세 불안 등 대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경기 회복세와 주력 산업 수출 호조에 힘입어 부가가치 증가율은 작년 2분기에 비해 늘었다. 노동투입은 근로자수가 증가했지만 근로시간이 이보다 더 크게 감소하면서 0.9% 줄었다.

주요업종별로 컴퓨터·전자·광학기기의 노동생산성은 전년동기대비 14.2% 증가했다. 노동투입이 감소(-1.3%)한 반면 부가가치는 증가(12.7%) 하면서 생산성이 늘었다. 

자동차·트레일러의 노동생산성은 전년동기대비 1.5% 증가했다. 노동투입이 감소(-0.8%)한 반면, 부가가치는 증가(0.6%) 하면서 생산성이 높아졌다.

기계·장비의 노동생산성은 전년동기대비 5.3% 증가했다. 노동투입이 감소(-1.6%)한 반면, 부가가치는 증가(3.6%)한 영향이다.

한국생산성본부. 사진=KPC
한국생산성본부. 사진=KPC

한편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지수는 전년동기대비 3.2% 증가한 109.7로 나타났다. 노동투입이 감소(-1.6%)한 반면 부가가치는 증가(1.5%)한데 따른 것이다.

주요업종별로는 도·소매업의 노동생산성은 전년동기대비 1.6% 증가했다. 부가가치와 노동투입이 모두 감소했지만 부가가치(-1.3%)에 비해 노동투입(-2.9%)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나 생산성이 눌었다.

보건·사회복지업의 노동생산성은 전년동기대비 1.9% 증가했다. 부가가치와 노동투입이 모두 증가했고 노동투입(0.6%)에 비해 부가가치(2.5%) 증가율이 더 크게 나타난데 따른 영향이다.

전문·과학·기술의 노동생산성은 전년동기대비 1.3% 줄었다. 노동투입이 증가(0.4%)한 반면, 부가가치는 감소(-0.9%)하면서 생산성이 감소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