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선도도시 대상지... 충남 당진, 제주도, 충남 보령, 서울 노원구 선정
국내 수소 성장거점... 동해·삼척 및 포항시 수소특화단지 지정
환경부-산업계, 순환경제사회로 신속한 전환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산업부, 기업 탄소감축 투자에 800억원 추가 융자지원
온실가스 감축 시설과 연구개발(R&D)에 선제적으로 투자하는 기업에 정부가 800억 원 규모의 융자를 추가로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계 탄소중립 전환을 촉진하는 ’24년도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 사업 대상 기업을 오는 18일까지 추가 모집한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특히 올해부터는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대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철강·시멘트·수소·알루미늄·비료·전력산업 관련 프로젝트에 대해 선정평가 시 가점(2점)을 부여한다. 선정된 프로젝트는 500억 원까지, 최대 10년간(3년 거치, 7년 원금균등분할상환) 저리로 융자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번 공고와 관련하여 상세한 내용은 산업부 홈페이지와 한국산업단지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며, 지원을 희망하는 기업은 탄소중립 융자지원 홈페이지(www.kicox.or.kr/netzerofin)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탄소중립 선도도시 대상지로 충남 당진, 제주도, 충남 보령, 서울 노원구 선정
환경부와 국토교통부는 지역의 탄소중립을 선도할 ‘탄소중립 선도도시 조성사업’ 대상지 4곳으로 충청남도 당진시,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남도 보령시, 서울특별시 노원구가 선정됐다고 31일 밝혔다.
‘탄소중립 선도도시 조성사업’은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이 본격화됨에 따라 지역과 민간 중심의 탄소중립 이행 및 확산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환경부와 국토부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사업이다.
대상지로 선정된 4곳은 지역의 온실가스 배출 진단 및 추진 여건에 대한 강점·약점·기회·위협(SWOT) 분석 등을 토대로 에너지/산업, 수송, 건물/인프라, 폐기물, 흡수원 등 분야별 중점 추진전략과 공간적 특성에 맞는 온실가스 감축 사업계획을 종합적으로 평가받아 최종 선정됐다.
환경부와 국토부는 내년까지 대상지 4곳의 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사업 규모와 국비 지원 규모를 결정하고, 기본계획을 토대로 2030년까지 ‘탄소중립 선도도시’를 본격적으로 조성해 나갈 예정이다.
동해·삼척 및 포항시 수소특화단지 지정
정부가 강원 동해·삼척과 경북 포항을 국내 첫 수소특화단지로 지정해 지원한다고 밝혔다. 수소특화단지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수소 기업의 성장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지정하는 산업 집적 지역이다.
정부는 1일 한덕수 국무총리가 주재한 제7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이런 내용의 수소특화단지 지정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특화단지에 대해서는 수도권 기업 이전 시 보조금을 2% 가산해 지급하고, 산업 용지 수의계약을 허용하는 등 혜택을 준다.
정부는 우선 2028년까지 동해·삼척에 3177억원, 포항에 1918억원을 각각 투입해 기업 입주 공간을 마련하고 관련 기반 시설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특화단지 추가 지정도 추진한다. 기업 수요가 큰 청정수소 생산·수소 모빌리티 분야에서 예비 수소특화단지를 지정해 예비타당성조사(예타) 절차를 지원하는 한편, 예타를 통과한 지역에 대해서는 신규 지정을 검토한다.
환경부-산업계, 순환경제사회 전환을 위한 논의의 장 마련
환경부와 한국지속가능발전기업협의회는 10월 31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제6회 지속가능기업혁신 토론회(포럼)’를 공동으로 개최했다.
올해 행사는 전 세계적으로 사회‧경제 체계가 자원과 에너지 투입의 최소화와 제품 전 주기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순환경제로 전환되는 점을 고려해 ‘초격차 지속가능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업가 정신 및 순환경제 신산업’을 주제로 열렸다. 아울러 유럽연합의 친환경 정책(에코디자인 및 배터리 규정) 및 유엔 플라스틱 협약 등 강화된 국제환경규범도 논의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