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탄소배출 정보시스템' 구축…전체 데이터 수집해 관리 체계화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현대차·기아는 30일 '글로벌 통합 탄소 배출 정보 시스템(IGIS)'을 구축하고, 탄소 배출량 관리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탄소 배출량 관리 체계를 보강해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에 적극 나선다는 얘기다.
이번에 개발된 IGIS는 원 소재 채취부터 제조, 수송, 운행, 폐기에 이르기까지 완성차의 생애주기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현대차·기아는 그간 글로벌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GEMS), 협력사 탄소 배출 이력 관리 시스템(SCEMS) 등을 구축해 국내외 사업장과 협력사의 탄소 배출량을 관리해왔다.
이번에 새로 구축된 IGIS는 기존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한 것에 더해 차량과 기업 단위의 탄소 배출량을 체계적으로 산출·관리할 수 있는 '완성차 전과정 평가' 기능이 더해졌다.
현재 대부분의 완성차업체는 부품 제조 과정과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관리하고 있으나 제품 단위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시스템을 마련해야 했다. '완성차 전과정 평가'를 적용하면 과정별 정량적 데이터 수집을 통해 더욱 체계적인 탄소 배출량 관리가 가능해진다.
또 여러 유관 부서가 개별 시스템을 활용하던 복잡한 관리방식을 개선할 수 있어 업무 효율이 증대되고, 업무 자동화도 꾀할 수 있다.
현대차·기아는 데이터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을 IGIS에 적용해 배출량 관리의 투명성도 높였다.
현대차·기아 ICT본부장 진은숙 부사장은 "'탄소중립 2045' 달성을 목표로 '글로벌 통합 탄소 배출 정보 시스템'을 구축했다"며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현대차·기아 경제 활동 전반에 걸친 탄소 배출량을 저감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올해 DJSI 월드지수 편입 국내 기업은...13.6% 증가, 최근 5년간 최다
- 현대차 CEO 첫 외국인 호세 무뇨스 사장 선임...장재훈 부회장 승진
- KB금융·신한지주·현대차·KT·우리금융...ESG평가 'S‘ 등급 최우수
- 현대차, '30년 전기차 200만대 글로벌 판매...10년간 120조 투자
- '전기차포비아' 어쩌나...벤츠 화재사고후 ‘전기차’ 호감도 35% 급락
- 현대차, 친환경차·현지 맞춤 성과...‘유럽 2위 자동차시장’ 영국서 최고 실적
- 현대차그룹, 부품·물류·철강부문 6개 계열사 손잡고 탄소중립 가속
- 현대차, 모빌리티 기술인력 신규 채용...20일까지 접수
- 현대차·기아, 설 특별 무상 점검 서비스 실시...22~24일까지
- 현대차, 대형 전기 SUV '아이오닉9' 출시…1회 충전 532km 주행
- 기아, 경기도·화성시와 'PBV 기반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 업무협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