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반ESG 흐름 영향 제한적"…기후 리스크 상존

  • 기자명 김연지 기자
  • 입력 2025.02.28 08:24
  • 수정 2025.03.04 14:12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상의, "글로벌 기업들 공급망 관리 요구 크게 변하지 않아"
기업의 ESG 리스크와 기후변화 위험, 정권 바뀌어도 계속 유지

‘글로벌 안티ESG 흐름과 국내 기업의 대응 방향’ 세미나 현장 사진. 사진=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글로벌 안티ESG 흐름과 국내 기업의 대응 방향’ 세미나 현장 사진. 사진=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최근 미국 등 일부 국가를 중심으로 한 반ESG 움직임이 글로벌 ESG 흐름을 영구적으로 바꿔놓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주장이 나왔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과 인플루언스맵(InfluenceMap)이 27일 개최한 <글로벌 안티 ESG 흐름과 국내 기업의 대응 방향> 세미나에서 발제자로 참여한 전문가들은 이같이 말했다. 이날 발제자들은 국내 기업과 금융기관은 단기적 흐름이 아닌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장 전략의 일부로 ESG를 내재화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ESG 트렌드 여전히 진행중…ESG 규제와 투자 여전히 활발

이날 세미나에서 ‘2025 ESG 아젠다 변화와 기업의 과제’를 주제로 발표한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 조영준 원장은 기업들이 공시 및 규제 부담을 느끼고 있는 현실을 인정하면서도, 글로벌 기업들의 ESG 기조는 큰 틀에서 변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조 원장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ESG 규제는 풀어도 글로벌 ESG 채권 등 ESG 투자 및 주요국(미국, 한국, 중국, 유럽, 일본)의 기후변화 완화 기술개발 등 ESG 트렌트는 지속되고 있고, 애플, 테슬라, BMW, MS 등 글로벌 기업들을 중심으로 한 공급망 관리에 대한 요구도 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발제자로 참여한 아시아기후변화투자자그룹(AIGCC) 조대현 박사 역시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정책이 폐지되고 있는 일련의 상황, 지난해 대다수 ESG 관련 주주제안의 부결 등을 안티 ESG 영향으로 분석하고 있는 관점에 반박했다. 그는 “미국 내 기관투자자의 관심이 줄었을지라도 미국 외 기관투자자는 아직 활발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조 박사는 특히 안티 ESG의 공격이 집중됐던 금융기관과 자산운용사들의 의결권 행사 방식의 변화 역시 ESG 위축으로 보기 어렵다는 해석을 내놨다. 최근 블랙록, 뱅가드, 스테이트 스트리트 등 대형 자산운용사들은 기존에 내부 스튜어드십 팀 등에서 외부 의결권 자문사 권고를 참고하거나 직접 분석하여 포트폴리오 내 회사 주주총회 의결권을 행사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옵션(운용사 정책, 제3자 정책, 직접투표, 투표 안함 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변경해 자산소유자가 직접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대해 조 박사는 “일부에서는 ESG 투자 흐름의 위축으로 해석하는데, 자산소유자가 직접 의결권을 행사하는 방식은 후퇴가 아니라 정상화 과정”이라고 주장했다. 

정권 바뀐다고 기업의 ESG 리스크, 환경적 위험 사라지는 것 아냐

이날 세미나에서 ‘안티ESG 흐름과 화석연료 부문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발표한 인플루언스맵 이세진 한국팀 매니저는 “미국의 안티 ESG 흐름은 ESG 규제로 인해 직접적인 영향을 우려한 화석연료 기업 및 산업협회들이 반대 담론을 적극적으로 주도한 결과”라고 진단했다.

이 매니저는 화석연료 산업이 안티 ESG흐름의 핵심에 있으며, 실제로 아치콜(ArchCoal), 머레이 에너지(Murray Energy Corporation), 등 미국의 석탄 회사 및 협회들이 안티 ESG 법안인  모델 ESG법안(Model ESG Bills) 초안을 작성하였다고 밝혔다. 

이어 택사스 공공정책 재단(Texas Public Policy Foundation) 등 우익 싱크탱크들이 안티ESG 관련 메시지와 아젠다를 주류 기업에 전달해 안티ESG 분위기를 전략적으로 조성했다고 진단했다. 이 매니저는 안티 ESG 흐름의 더 큰 목표는 기후 정책 행동을 차단하고, 주주들이 기업의 기후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권한을 약화시키는 것이라고 결론내렸다.

미국에 본사를 둔 로펌 모리슨 앤 포스터(Morrison&Foerster)의 크랙 디 마틴 공동대표는 여전히 미국 기업들은 “미국 내 ESG 관련 소송 및 법적 리스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소비자 집단소송 및 증권 소송과 관련된 대응이 중요해지고 있다”면서, “기업들이 ESG를 단순한 규제 대응이 아니라 기업 전략의 핵심 요소로 인식하고, 장기적인 성장 전략과 연계해 지속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마지막 발제자로 나선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김태한 수석연구원은 “정권이 바뀐다고 실존하는 기업의 위험은 사라지지 않는다는 점,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은 오히려 가속화 되고 있다는 점, 고객사의 마케팅 및 제품 경쟁력 측면에서도 공급망 저탄소화는 유리하는 점, 고객사의 입장에서 보면 ESG 요구 지속이 가격협상에서도 유리하다는 점에서 ESG는 지속될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국내 상황에 관련하여 김 수석연구원은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이 지난해 22대 총선을 앞두고 각 정당의 ESG 정책에 대한 입장을 물은 결과, 일부 차이는 존재하지만 ESG 정보공개 의무화, 지속가능 금융 액션 플랜 마련 등 주요 정책 논의는 계속될 전망”이라며, ESG를 정치적 이슈로 바라보지 말고 기업 경영 환경의 변화로 인식하고 대응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