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공시기업 97% 공급망 ESG관리활동 수행...전년比 7.8%p 증가
구매 시 협력사 ESG 정책 반영 기업도 52%→78.9%까지 급증
협력사 ESG 교육 컨설팅늘었지만...인증 지원 및 설비투자 미흡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국내 상장사 199사 중 42.2%는 계약·거래 시 상대 기업의 ESG평가결과를 활용하고, 그에 따라 인센티브를 제공하거나 페널티를 부과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기회)는 상장 대·중견기업 199개사의 자율공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및 협력사 행동규범을 분석한 '대·중견기업 공급망 관리 실태분석' 결과를 6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중기회 분석 결과, 자율공시 기업의 97%가 공급망 ESG 관리 활동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89.2%) 대비 7.8%p 증가한 것으로, 중기회는 공급망 ESG 관리가 기업의 주요한 지속가능경영 전략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공급망 ESG 관리 활동에는 △협력사 평가절차 △현장실사 기준 및 내용 △평가결과 활용 △진단후 미흡사항 △향후 평가계획 △협력사 행동규범 △ESG 교육지원 △ESG 컨설팅 지원 △인증획득 지원 △중대한 위반시 불이익 △구매시스템에 ESG 포함 △공급망 탄소배출 관리 등이 포함된다.
특히 기업들이 공급망 ESG 평가결과를 활용해 계약·거래 시 인센티브를 제공하거나 페널티를 부과하는 비중이 전년에 비해 두 배(22.3%→ 42.2%, 19.9%p↑)로 증가했다. 협력사 ESG 촉진을 위해 인센티브(31.7%)를 적용하는 기업비율과 페널티 적용 기업(29.6%) 모두 전년대비 증가한 추세다.
협력사의 ESG 관련 정책(녹색구매, 분쟁광물 관리, 공정거래 준수 등)을 구매시스템에 공개하고 구매 시 반영하는 기업도 52%에서 78.9%까지 증가했다.

협력사 ESG 지원에 있어서는 ESG 내재화를 위한 교육(65.8%)과 컨설팅(51.3%)이 전년에 비해 크게 증가했지만, 실질적인 ESG 수준 개선을 촉진할 수 있는 인증 지원(16.6%)과 설비투자 등의 하드웨어적 지원(18.1%)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불과 1년 사이에 거래 관계에서 ESG의 영향력이 상당히 커졌는데 협력사 ESG 수준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인증·하드웨어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페널티를 부과하는 기업 비율도 높아, 대기업의 상생노력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그는 더불어 “국내외 ESG규제환경 변화에 따른 대기업의 ESG 정책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대중기 ESG 상생을 위한 과제를 발굴하고, 업종별 맞춤형 ESG 툴킷 등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국내 대기업, 스코프3 데이터 수집 애로...이중중대성 평가 91%
- 국내 대기업 70%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공시…전년대비 27%↑
- 국내 지속가능보고서 기업 중 스코프3 전항목 공시는 "1% 불과"
- ISSB S2 요구 수준 물리적 위험 공시 국내 기업 3%에 불과
- 나경원의원 등 30인, 중소기업 탄소중립 촉진에 관한 법률안 발의
- ESG 평가 등급 올리는 방법 어렵지 않다
- 'ESG경제 포럼' 성료...금융위 “ESG공시, 기업수용성 제고 적극 검토”
- 중소기업 탈탄소 지원 법안 나온다…탄소중립 전담기관 지정
- 수출 중견기업 46% 'ESG 경영' 도입…25% "3년내 추진 계획"
- 국내 중소·중견기업 ESG 경영 수준, "2년 새 2배 향상"
- “국내 지속가능경영보고서·SASB 점검”…공인회계사회 21일 포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