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환자일수록 조기 치료가 평생 시력 지키는 핵심전략”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녹내장 환자는 2019년 약 97만 명에서 2023년 118만 명으로 증가했다. 특히 30~40대 환자가 각각 2만 명 이상 늘어나며 ‘노인성 질환’으로만 여겨지던 인식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녹내장은 안압 상승이 대표 원인이지만 정상 안압 범위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시신경 자체가 약하거나 혈류 공급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도 진행되기 때문에 젊다고 해서 안심할 수는 없다.
최근 젊은 층에서의 증가 원인으로는 고도근시, 디지털 기기 과사용, 불규칙한 생활습관 등이 꼽힌다. 고도근시는 망막과 시신경에 구조적 약화를 가져오며, 여기에 고혈압·당뇨 같은 전신질환이 동반되면 녹내장 위험은 더욱 높아진다.
강남도쿄안과 박형주 대표원장은 “30~40대는 사회활동이 활발해 안과 검진을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다”며 “그러나 근시를 방치하면 녹내장뿐 아니라 황반변성, 망막박리로 이어질 수 있어 정기 검진이 필수”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수술은 약물·레이저 치료로도 안압 조절이 되지 않거나 시야 손상이 진행될 때 고려한다”며 “젊은 환자일수록 조기 치료가 평생 시력을 지키는 핵심 전략”이라고 덧붙였다.
도움말 강남도쿄안과 박형주 대표원장

관련기사
홍수인 기자
news2@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