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 만들어 제도 설계...온실가스 감축 계획과 함께 이행 방안 발표해야

[ESG경제=이신형기자] 영국 정부가 금융기관과 상장회사들에게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의무적으로 세우도록 하는 조치를 도입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설립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5일 보도했다. TF 팀은 제도 도입을 위한 규정을 제정하게 된다.
지난해 11월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리시 수낙 영국 재무장관은 영국 기업과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2023년부터 기후 위기를 완화하기 위한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 발표를 의무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영국을 세계 최초로 탄소중립 금융센터로 만들겠다는 영국 정부의 약속을 실현하기 위해서다.
TF의 공동 의장직을 맡은 보험사 아비바의 아만다 블랑 CEO는 “기후변화가 미칠 최악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기업이 미래의 저탄소 세계를 열기 위한 야심차고 일관성있는 전환 계획을 마련하여 발표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만다 블랑과 함께 TF 공동 의장을 맡은 존 글렌 영국 재무부 금융서비스 총괄은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 계획과 수단이 적절하고 신뢰할만한지 평가하는 주체는 정부가 아닌 투자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영국 정부가 올 하반기에 금융기관의 저탄소 전환을 위한 방안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영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금융기관들은 화석연료 산업에 대한 대출 등 자금 제공을 중단하라는 압력을 받고 있다.
하지만 스탠다드차터드은행의 빌 윈터스 CEO는 시티위크와의 인터뷰에서 “내일 당장 화석연료 산업에 대한 자금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는 것은 터무니없고 순진한 생각”이라며 “우선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고 둘째로 파괴적인 결과를 낳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영란은행의 마이클 셰렌 선임 자문관은 시티위크 기자에게 탄소 가격을 기업의 탄소중립 전환 비용과 연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아비바 인베스터스의 스티브 웨이굿 책임투자 담당자는 "탄소 가격이 탄소중립 비용과 연계되지 않는다면 기업 가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며 "정부가 이런 조치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