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와 네덜란드,핀란드 등 참여
발전소 건설 등 원전 확충 공동 보조

[ESG경제=이신형 기자] 프랑스 등 유럽 11개국이 원자력 동맹을 결성한다. 이를 통해 원전 안전 규정을 공동으로 마련하고 SMR(소형모듈원전) 등 원전 신기술 개발에도 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공동 사업도 추진한다.
유렉티브의 보도에 따르면 이들 11개국은 지난주 스웨덴 스톨홀름 EU 에너지장관회의에서 이같은 합의가 담긴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에 서명한 나라는 프랑스를 비롯해 핀란드, 네덜란드,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체코, 폴란드,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헝가리, 루마니아다.
11개국은 성명을 통해 “원자력 에너지는 기후 목표 달성과 기저 전력 확보, 에너지 안보를 위한 여러 수단의 하나"라며 "협력의 목적은 국제적으로 가장 성공적인 운영 방식(베스트 프랙티스)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의 원전 안전 규정을 마련하고 (원전 기술) 연구와 혁신을 증진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성명은 이어 "11개국이 원전 동맹을 통해 유럽의 원전 능력 제고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신규 원전 건립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를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유럽 주요국 간 속내는 제각각
하지만 이번 합의를 주도한 프랑스는 원전 동맹 결성이 유럽 경제의 탈탄소화 달성 과정에서 원전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는 속내를 드러냈다. 원전 비중이 높은 프랑스는 탈탄소화를 위해 원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탈원전을 선언한 독일과 대립각을 세워 왔다.
아그네스 파니에 루나허 프랑스 에너지장관은 기자들과 만나 "재생에너지 확충 흐름에 역행하지 않으면서도 유럽 경제를 탈탄소화할 수 있도록 원전 관련 규제나 법규의 손질 필요성을 느꼈다"고 말했다. 프랑스 에너지부는 EU의 탈탄소화 관련 입법 과정에서 원전을 더 비중있게 고려하도록 하겠다는 의도가 동맹 결성의 배경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원전 동맹 추진을 놓고 EU 내에서 미묘한 이견과 신경전이 벌어지는 듯한 분위기도 감지된다. 유랙티브에 따르면 이탈리아는 당초 원전 동맹에 가입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결국 성명에 서명하지 않았다. EU 순회 의장국인 스웨덴도 원전 동맹에 관심을 보이며 동맹 결성을 위한 회의에 참석했으나, 의장국으로서의 중립을 지키기 위해 성명에 서명하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