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미국, 온실가스 2030년까지 52% 감축...中ㆍ러ㆍ인도는 목표 제시 안해

  • 기자명 이신형 기자
  • 입력 2021.04.23 12:11
  • 수정 2021.04.23 15:29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재인 대통령도 추가 감축 약속. 구체적 수치는 추후 발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2일 기후정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2일 기후정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ESG경제=이신형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미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50% 이상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온실가스 배출국 1위인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과 3위와 4위 배출국인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미국 대통령은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국제적인 공조 의지를 밝히면서도 진전된 목표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미국은 온실가스 배출국 2위에 해당한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구의 날인 22일(현지시간) 40개국 정상이 참석한 가운데 화상으로 열린 기후정상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직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탈퇴한 파리협약 복귀를 선언하고 지구온난화 대응에 대한 미국의 리더쉽 회복에 나섰다.

백악관이 공개한 브리핑 자료에 따르면 지나 맥카시 백악관 기후보좌관은 “미국은 경제 전반에 걸쳐 2030년까지 온실가스 매출량을 2005년(에 제시한 목표) 수준에 비해 50~52% (추가)감축할 것”이라며 "전력과 교통, 건축물, 산업, 육지와 해양 등의 분야별로 나눠 온실가스 배출량을 조사했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고효율 청정에너지 기술과 혁신적인 에너지 기술 동향 등을 조사해 온실가스 감축량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구체적인 분야별, 산업별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연내에 발표할 계획이다. 미국의 발표에 일본과 캐나다, 브라질, 한국 등이 호응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요시히데 스가 일본 총리도 일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46%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종전 목표보다 감축량이 26% 늘어난 수준이다. 쥐스텡 트뤼도 캐나다 총리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종전 목표보다 30% 상향조정된 40~45% 줄이겠다고 밝혔다.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은 브라질이 목표보다 10년 이른 2050년 탄소중립에 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해 발표한 2030년 온실가스 배출 축소 목표보다 상향한 감축 계획을 연내 유엔에 제출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한국은 지난해 2030년까지 2017년 배출량 대비 24.4% 감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대다수 대규모 탄소 배출국은 여전히 새로운 목표를 제시하지 않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중국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석탄 사용을 줄이겠다고 밝혔으나,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상향하지는 않았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총리는 클린 에너지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기업에 대한 혜택을 제안했으나, 미국이 역사적으로 가장 큰 온실가스 배출국이었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모디 인도 총리는 2030년까지 450 기가와트의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재확인하고 인도의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세계 평균보다 60%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고 인도 NDTV가 보도했다.

기후정상회의 발표 및 주요국 탄소배출 현황. 자료=삼성선물
기후정상회의 발표 및 주요국 탄소배출 현황. 자료=삼성선물

 

실현 가능성 의구심 해소해야

보리스 존즌 영국 총리는 미국의 온실가스 감축 계획에 대해 “게임체인저 역할을 하는(game changing)”조치라고 평가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우르슬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도 기후변화에 대응에 미국이 복귀한 것에 환영의 뜻을 표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적극적인 온실가스 추가 감축 계획을 밝히면서 미국의 정책의지에 대한 국제사회의 의구심이 다소 해소됐으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은 여전히 남아 있다.

영국 그린피스의 기후변화팀을 이끌고 있는 활동가 케이트 블라고제비치는 “목표 자체만으로 온실가스 감축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며 “실질적인 정책과 돈이 들어야 한다. 전 세계가 아직 (온실가스 감축의) 길에서 여전히 떨어져 있다”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보도했다.

로이터는 바이든 행정부가 최근 발표한 2조3000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구축 계획에도 청정 에너지 표준 마련과 교통수단의 전동화 등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 방안이 담겨 있으나, 실현을 위해서는 의회에서 관련 법안이 통과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석유협회(American Petrolium Institute)는 바이든 대통령의 온실가스감축 약속에 대해 소극적으로 환영의 뜻을 표하며 온실가스 감축은 카본세나 온실가스 거래제 등과 같은 정책을 수반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로이터는 미국의 일부 의원들은 이런 정책에 찬성표를 던지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