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현행 40%에서 20%로 인하 검토
인도산 태양광 모듈 공급량 수요에 못미쳐

[ESG경제=이신형 기자] 인도의 재생에너지 투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인도 정부가 태양광 모듈 수입 관세 인하를 검토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3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3명의 소식통은 인도 재생에너지부는 태양광 모듈 수입 관세를 현재의 40%에서 20%로 인하하는 방안을 놓고 재무부와 협의했다. 이들 부처는 태양광 패널에 부과되는 소비세도 12%에서 5%로 인하하도록 세무당국에 요청했다고 전했다.
인도의 전력 시장을 주도하는 타타 파워와 아다니 그린, 비크람 솔라 등이 대규모 태양광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있다. 하지만 인도산 모듈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어서 수입 모듈에 대한 관세 인하가 이들 기업의 사업 추진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인도는 중국산 태양광 모듈과 셀의 수입을 억제하기 위해 지난해 4월부터 모듈에 40%, 셀에 25%의 관세를 부과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인도산 장비를 활용한 재생에너지 발전 확충을 추진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 소식통은 “인도의 태양광 모듈 생산 능력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수입품으로 그 공백을 메워야 한다”고 전했다.
모디 총리는 2031~2032년까지 연간 365기가와트의 태양광 발전능력을 달성하고 전기차와 지속가능한 항공유 보급을 확대한다는 야심찬 청정에너지 공급 계획을 세웠다. 인도의 현재 태양광 발전능력은 32기가와트에 불과하다. 목표 달성을 위해 분발이 필요한데 현재 적정 수요로 추정되는 52기가와트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인도산 모듈 공급은 부족한데 수입산 모듈에 고율의 관세가 부과됨에 따라 태양광 발전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도 정부 관계자는 관세 인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앞으로 2년간 인도는 “연간 8~10기가와트 규모의 태양광 모듈을 수입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인도는 2021~2022년 중 태양광 모듈 수입에 30억달러를 지출했는데 수입품의 92%는 중국산이었다. 소식통들은 관세가 인하된다면 수입산 모듈의 가격이 5분의 1 정도 인하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로이터는 인도 재무부는 관세 인하 여부에 대해 언급을 피했고 인도 재생에너지부 대변인은 구체적인 설명 없이 “그런(관세 인하) 요청은 없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 태양광 웨이퍼 가격 급락...中 융기실리콘 30% 인하
- 한덕수 총리, “100% 에너지자립 탄소중립형 건물 짓자”
-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 본격화...특별법 국회 통과
- 올해 태양광 투자가 석유 투자 추월…'저탄소 투자' 새 역사
- 美-유럽, ‘친환경 투자 유치 전쟁’ 가열...佛 녹색산업법안 공개
- 美 IRA 보조금 혜택으로 배터리·태양광 업체 실적 ‘쑥쑥’
- G7, '30년까지 태양광 발전 1테라와트ㆍ해상풍력 150기가와트로 확대
- 미국 ‘50년까지 전력 생산 2배로...대부분 재생에너지로 충당 목표
- 지구촌 발전소의 탄소 배출량 이미 작년 정점?
- 미국, 풍력 발전이 석탄 앞질러...에너지 전환 가속도
- 태양광사업 등 전력기금 부정 사용 총 8440억원 적발
- 청정에너지용 필수 광물 생산 5년새 2배 증가...수급 안정 예상
- 인도 시총 1위 릴라이언스 "2030년까지 최소 100GW 태양광 발전 설치"

